'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감독 이재규 "나도 우울증·공황장애"

지선우 기자 2023. 11. 14. 15: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감독 이재규가 본인이 과거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겪은 사실을 밝혔다. 사진(왼쪽)은 배우 장동윤(왼쪽부터)과 박보영, 이정은, 연우진이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제작발표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오른쪽)은 이재규 감독이 지난 1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스타뉴스 제공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감독 이재규가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겪은 사실을 밝혔다.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극본 이남규, 이하 '정신병동')를 연출한 이재규 감독은 최근 뉴스1과 만나 인터뷰를 가졌다.

이재규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과거 우울증과 공황장애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고백했다. 그는 정신질환에 대해 편견과 오해로 가득한 사회가 아닌 보이지 않는 아픔도 나눌 수 있는 따스한 사회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드라마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정신병동'은 간호사 정다은(박보영 분)이 정신건강 의학과에 처음 근무하게 되며 다양한 환자들과 편견들을 마주하며 겪는 일들을 다룬다.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잘 그려내고 현실적인 상황을 잘 표현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번 드라마는 감독이 약 5년 전 제작사를 차리고 여러 이야기를 구상하다가 알게 된 작품이다. 감독은 "당시 '정신병을 다루는 이야기를 어떻게 드라마로 옮기냐'는 주변 반응이 있었지만 제작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주변의 부정적 반응에도 제작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한국 사회가 여러 가지로 정신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 대개 경제지표가 높아지면 행복지수도 올라가는데 우리나라는 역행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며 자살률도 높다"며 "정신건강 실태 조사 결과 성인 4명 중 1명이 정신장애를 경험하는데 그중 10%만 도움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런 이야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답했다

'드라마 연출에서 신경 쓴 부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감독은 "이야기를 얼마나 따뜻하게 미술적으로 잘 구현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고 답했다. 이어 "이야기가 왜곡되면 안 되고 의학적 자문을 통해 실제 간호사들이 상주하면서 의학적 오류를 범하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감독은 다은 역을 맡은 배우 박보영에 대해 "실제 다은 같은 사람"이라며 "박보영 배우가 아니었다면 이렇게 편안하고 예쁘게 받아들여주셨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감독 본인이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어떻게 극복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는 "나는 바보 같이 버텼다. 병원도 두세 번 간 게 전부다"며 극 중 좋아하는 대사 중 하나로 다은이 이승재(유인수 분)에게 '승재씨 약 먹어요. 버틴다고 버티는 것도 아니고 이길 수 있는 병도 아니에요'라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병원에 가지 않고 버틴 경우지만 심리적, 정신적으로 힘들 때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그걸 당연시하는 문화가 생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제공
감독이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드라마 후반부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극 중 정다은 간호사는 김서완(노재원 분) 환자의 극단적 선택으로 우울증에 걸리게 된다.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에서 정신과 환자가 된 정다은은 보호 병동에서 치료받고 다시 간호사로 복귀한다. 하지만 정신과 치료를 받았던 사실이 환자들 사이에서 퍼지자 급기야 환자 보호자들의 시위로 이어진다. 병원과 보호자들 간담회가 열리고 환자 보호자들은 정다은 간호사가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인데 아픈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 욕심이라고 말한다. 이에 정신건강의학과 수 간호사(이정은 분)는 보호자들을 향해 "그런 식이면 다른 환자들 모두 집에서 살아야 한다"고 일침을 놓는다. 보호자들이 화를 내자 수 간호사는 덧붙여 "내 가족한테 이런 말을 하니까 마음이 아프세요? 근데 방금 보호자님께서 하신 말씀 모두 환자분들이 병원에서 나가면 들어야 되는 애기들입니다"라고 말한다.

해당 장면들은 시청자들의 마음 한구석을 찔렀다. 이는 자기 가족들이 정신질환으로 사회에서 편견 혹은 오해를 받지 않기를 바라면서 반대로 정신질환을 가졌던 사람에 대해서는 편견으로 바라보고 있는 모순적인 상황을 그렸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감동 받았다', '재밌다'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 감독은 "넷플릭스에서 1위를 한 점도 좋았지만 정신질환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됐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더 많이 퍼져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즌 2' 제작에 대한 질문에는 "작가팀이 취재를 많이 했고 리플리 증후군이나 섭식장애 등의 소재가 있다며 제작됐으면 한다"고 답했다.

이재규 감독은 '지금 우리 학교는' 시즌2로 다시 돌아올 예정이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지금 우리 학교는'(2022), '완벽한 타인'(2018), '더 킹 투하츠'(2012), '베토벤 바이러스'(2008) 등이 있다.

지선우 기자 pond1998@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