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 전년보다 1.6%↓…벼 재배 면적 역대 최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재배 면적 자체가 감소한 영향이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0만2000t으로 지난해보다 1.6%(6만2000t) 감소했다.
쌀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쌀 재배 면적이 70만8012㏊(헥타르·1만㎡)로 지난해보다 2.6%(1만9042㏊) 줄어든 영향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 여건 좋아지며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
(시사저널=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재배 면적 자체가 감소한 영향이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0만2000t으로 지난해보다 1.6%(6만2000t) 감소했다. 강원(4.0%)과 충남(0.2%)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쌀 생산량이 줄었다.
쌀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쌀 재배 면적이 70만8012㏊(헥타르·1만㎡)로 지난해보다 2.6%(1만9042㏊) 줄어든 영향이다. 올해 재배 면적은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다.
정부가 쌀 수급 균형을 위한 정책을 펼치면서 재배 면적이 최근 감소하고 있다. 쌀이 잉여 작물이기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전략작물 직불제,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등을 통해 쌀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보다 기상 여건이 좋아지면서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했다. 10a(아르·100㎡)당 생산량은 523㎏으로 작년(518㎏)보다 1.0% 늘었다. 벼 낟알이 형성되는 7∼8월에 일조 시간이 증가하는 등 기상 여건이 양호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9∼10월 날씨 변화와 병충해 등 영향으로 생산량에서 편차가 나타났다. 시도별 쌀 생산량을 보면 전남이 73만7000t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72만7000t), 전북(58만2000t) 등이 뒤를 이었다.
쌀 생산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전북(-6.3%)이었다. 경북(-2.0%)과 경남(-1.7%) 등도 전국 평균(-1.6%)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파면에 이혼” 제자 성폭행하고 선처 호소한 국립대 교수 - 시사저널
- “숏컷 페미는 맞아야”…편의점 알바 폭행 20대 ‘신상공개 청원’ 등장 - 시사저널
- 생후 4개월 아들 먹던 분유 팔고 이온음료 준 母…2심도 ‘징역 4년’ - 시사저널
- “아버지뻘에 예의 없이” “그래서 인기”…與 ‘이준석 싸가지론’ 갑론을박 - 시사저널
- 택시비 뜯으려 여중생 강간·감금한 40대…母 ‘불우가정’ 호소 안통했다 - 시사저널
- 文 만난 조국, 출마할 결심? - 시사저널
- 동거女 미성년 딸 2명 수면제 먹여 성폭행한 60대…징역 10년 - 시사저널
- 순항하는 줄 알았던 다이어트…‘이 신호’ 나타나면 멈춰야 - 시사저널
- 하루 세 번 양치질, ‘이렇게’ 하면 되레 건강 악영향 - 시사저널
- 전국 각지서 속출하는 ‘빈대’…서식 확인·방제 어떻게?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