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으로 지은 3층 아파트…‘사회주택’ 새 모델 될까

곽노필 기자 2023. 11. 14. 09: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추구하는 유엔기구인 유엔해비타트(UN Habitat)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안정된 주거가 없는 약 30억명의 사람들을 수용하려면 매일 9만6000개의 저렴한 주택을 새로 지어야 한다.

이 아파트 건설업체인 페리3디건축(PERI 3D Construction)의 파비안 베이어-브뢰츠 전무는 "3D 프린터가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이며 자원 절약적으로 주거 공간을 만들 수 있는지, 그리고 다가구 주택 부문에서도 어떤 잠재력이 있는지 보여줄 수 있게 됐다"며 "3D 프린팅 기술은 이미 현대 건설 현장, 특히 사회주택 프로젝트에 널리 사용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일서 지상 3층 6가구 임대아파트 건설
공적 자금과 저렴한 건축비의 결합 사례
독일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사회주택 임대아파트가 지어지고 있다. 코보드 제공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추구하는 유엔기구인 유엔해비타트(UN Habitat)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안정된 주거가 없는 약 30억명의 사람들을 수용하려면 매일 9만6000개의 저렴한 주택을 새로 지어야 한다. 그러나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주택 비용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다. 공사기간이 짧고 비용이 덜 들어가는 3D 프린팅 건축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는 데 유망한 방식이다.

독일 중부 루르지역의 소도시 뤼넨에 무주택 서민을 위한 3D 프린팅 공공주택이 지어지고 있다. 이 아파트는 독일 최초의 공적 자금 지원 사회주택이자, 공공주택 보조금과 3D 프린팅 건축이 결합한 최초의 사례다.

최근 미 오레곤주에서 산불 이재민을 위한 3D프린팅 주택에 공적 자금이 지원된 사례는 있으나, 이번엔 일회성 자금이 아닌 정부 공공주택 정책자금이 정식으로 집행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D 프린팅 건축이 사회주택 공급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주택이란 주택 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국가나 비영리단체가 공급하는 보급형 임대주택을 말한다.

이 아파트는 지상 3층에 61~81㎡(18~24평) 크기의 6개 가구로 구성된다. 3개층을 모두 3D 프린팅 방식으로 짓는 건 아니다. 1층과 2층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건축하지만 최상층인 3층은 목재 하이브리드 공법을 이용한다.

1, 2층 건축에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3D 프린터 개발 업체 코보드의 대형 프린터 ‘보드2’다. 보드2가 프린팅할 수 있는 최대 크기는 폭은 14.62m, 높이는 8.54m다.

회사 쪽은 이 프린터를 이용해 2개층의 벽체를 완성하는 데 100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3층 목재 바닥과 지붕을 추가하는 것과 창문 달기와 배선, 배관 등은 사람이 직접 작업한다.

3개층 중 1~2층은 3D프린팅으로, 3층은 목재 공법으로 짓는다. 코보드 제공

빠르고 효율적이며 자원절약적 방식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건설담당 장관 이나 샤렌바흐는 “뤼넨의 선구적인 프로젝트는 공공 주택을 신속하고 현대적이며 지속 가능하게 건설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아파트 건설업체인 페리3디건축(PERI 3D Construction)의 파비안 베이어-브뢰츠 전무는 “3D 프린터가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이며 자원 절약적으로 주거 공간을 만들 수 있는지, 그리고 다가구 주택 부문에서도 어떤 잠재력이 있는지 보여줄 수 있게 됐다”며 “3D 프린팅 기술은 이미 현대 건설 현장, 특히 사회주택 프로젝트에 널리 사용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2010년대 후반부터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 3D 프린팅 건축은 애초 한 층짜리 소규모 주택으로 출발했으나 대형 3D 프린터가 등장하면서 갈수록 건축 규모도 커지고 있다. 앞서 페리그룹은 2021년 독일 바이에른주 발렌하우젠에 지상 3층에 5개 가구로 구성된 3D 프린팅 임대아파트를 지은 바 있다.

또 케냐에서는 맞춤형 건축이 가능한 3D 프린팅 주택 단지가 조성 중이고, 일본에서는 은퇴부부를 겨냥한 소형 3D 프린팅 주택이 시장에 나왔다. 3D 프린팅이 새로운 실용적 건축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