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벼' 탄생 수원…"부국원서 수원품종 이야기 만나보세요"
머니S는 지난 11일 농업인의 날을 즈음해 국민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든 수원 탄생 품종 이야기를 조명해 봤다.
국민들의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이 목표이던 시절, 굶주림의 역사를 끊어내고 쌀 품종의 식량 자급을 이뤄낸 벼 품종은 '통일벼'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벼는 자포니카 품종이다. 한국과 중국 북부, 일본 등 온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자포니카 품종은 둥근 모양에 찰지고 윤기가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맛이다. 하지만 병충해 피해가 많고 쓰러짐이 심해 생산량을 늘리기 어려웠다. 이에 우리나라는 1960년대 들어 종자갱신사업을 시작, 병충해에 강하고 잘 쓰러지지 않는 품종 육성에 집중한 끝에 통일벼를 만들었다.
통일벼는 당시 수원에 있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과 필리핀에 세워진 국제미작연구소(IRRI)의 공동 연구에서 출발했다. 허문회 교수(1927~2010)가 초청 연구원으로 가 생산성 높은 품종 개발을 위해 열대지역 품종인 인디카와 결합하는 3원 교배 방식으로 다수확 품종 IR667을 육성했다. 이 중 우수한 종자를 선발하고 교배하는 것을 되풀이한 끝에 유망한 우수계통 3종이 장려품종으로 선발됐다. '수원213호', '수원214호', '수원213-1호'다.
수원에서 적응을 거쳐 1971년 농가에 보급하기 시작한 통일벼는 정부 시책에 따라 적극적으로 재배 면적이 늘었다. 1977년에는 전체 논 면적의 54%에 재배됐고, 10a당 생산량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통일벼로 생산량이 증대되면서 삶의 모습도 변했다. 쌀 자급률이 113%로 올랐고,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점심은 쌀밥을 먹을 수 없던 '무미일(無米日)'이 1977년 1월 중순부터 사라졌고, 그해 12월부터는 14년 만에 쌀로 막걸리를 만들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재배 면적이 확대된 통일벼는 이후 가뭄과 수해, 도열병, 태풍, 냉해 등을 잇달아 겪으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국가적으로 품종 분산정책을 추진했고, 통일벼 개발 이후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자포니카 품종의 개량도 지속적인 성과를 거뒀다. 결국 자연스럽게 점차 재배 면적이 줄어든 통일벼는 1992년 이후 자취를 감췄다.
수원이 고향인 쌀 품종은 통일벼 외에도 다양하다. 2000년대 들어 최고품질 품종으로 개발된 '고품(수원479호)', '하이아미(수원511호)', '삼광(수원474호)' 등은 물론, 기능성 쌀로 붉은 빛이 도는 '홍진주(수원501호)', 항산화 성분이 함유된 '적진주찰(수원524호)', 체지방을 줄이는 검정쌀 '흑광벼(수원477호)' 등 다양한 쌀 품종이 수원에서 태어났다.
━
옥수수는 '수원19호'가 유명하다. KS5(Korea Suwon 5)와 KS6(Korea Suwon 6)을 모본과 부본으로 사용해 만들어 낸 우리나라 최초의 옥수수 교잡종이다. 1977년 농가에서 시범 재배를 시작한 뒤 옥수수 수확량이 큰 폭으로 늘면서 대대적인 호응을 얻었다. 이후 재래종이 대부분 수원19호로 대체됐다. 1990년대 들어서는 옥수수 육종이 식용과 사료용으로 구분되기 시작하면서 개발돼 주목받기 시작한 '찰옥2호(수원17호)', '일미찰(수원찰45호)' 등 찰옥수수 품종이 나왔다.
맥류 품종에서도 수원이라는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1977년 개발된 '동보리1호(수원183호)'는 추위에 강한 품종이다. 한파가 극심하던 1976년 육성 포장에서 대부분의 보리가 모두 얼어 죽은 가운데 파랗게 살아 있던 품종을 육종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새찰쌀보리(수원292호)', '두원찹쌀보리(수원304호)', '서둔찰보리(수원252호)', '진미찹쌀보리(수원332호)', '재안찹쌀보리(수원356호)', '풍산찹쌀보리(수원358호)', '삼광찰(수원394호)', '황금찰(수원403호)' 등의 품종이 수원에서 개발됐다.
밀의 경우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찰밀 종자를 개발했다는 소식을 듣고 무작정 일본으로 가 어렵게 품종을 구해 호텔에서 실험을 하고, 여행가방에 담아 개체를 들여온 육종가가 우리나라 재래종과 교배해 '신미찰(수원292호)'을 개발했다. 이후 '알찬밀(수원257호)', '신미찰1호(수원306호)' 등의 품종이 육성됐다.
한국이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콩은 이름 자체를 수원의 지명을 딴 품종이 있다. 1960년대에 수원농업시험장으로 콩 육종 중심지가 옮겨진 후 1969년 신품종 '광교(수원30호)'가 만들어졌다. 광교 품종은 재래종보다 33% 수확량이 많고 잘 털리지 않아 인기를 끌면서 20여년간 전국에서 재배되는 주력품종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괴저바이러스로 타격을 입은 뒤 새로운 종자를 육성, '황금콩(수원97호)', '신팔달콩(수원144호)', '태광콩(수원145호)', '대원콩(수원181호)' 등 지금도 많이 심는 대표 품종이 만들어졌다.
1층에서는 품종을 육종한 농학자들을 중심으로 품종 개발에 대한 뒷이야기가 펼쳐진다. 쌀, 옥수수, 보리, 밀, 콩 등 다양한 품종을 연구하고 개발한 스토리가 패널로 전시돼 있고, 농학자들의 실제 구술 녹음을 영상으로 만들어 실감을 더한다. 2층에는 통일벼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쌀 자급과 관련된 오래된 뉴스 등 영상물이 흥미를 돋는다.
수원 구 부국원은 이번 전시와 연계한 테마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11월18일 옥수수, 12월9일 보리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을 인터넷 예약으로 접수받는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가 발간한 구술총서 '품종의 탄생'에 나와 있다. 1부는 식량작물 품종 개발과 수원에서 육종된 품종을 설명하고, 2부는 농학자들의 구술이 실렸다. ▲통일형 벼를 개발한 육종 1세대, 김종호 ▲벼 육종의 세대를 잇다, 정응기 ▲육종 후 수확량과 품질을 가름하는 재배기술 연구자, 최경진 ▲옥수수 육종 변화를 이끌어 간 문현귀 ▲옥수수 육종과 품질 분석을 연구한 김선림 ▲옥수수 육종의 현재를 말하다, 백성범 ▲찰보리와 찰밀을 육종한 하용웅 ▲사료용 맥류 육종가, 황종진 ▲태광콩과 대원콩을 육종한 김석동 ▲콩 육종의 흐름과 동향을 말하다, 윤홍태 등 10명의 농학자가 구술한 육종 이야기가 담겼다. '농학자가 들려주는 수원 품종 이야기'라는 부제에 걸맞게 육종가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경기=김동우 기자 bosun1997@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태원·노소영, 감정 다툼 격화… "가정 깬 것 벌 받아야" vs "언플 유감" - 머니S
- "연인→동료로"… 류준열·혜리, 7년 공개열애 끝 - 머니S
- 한혜진 500평 홍천집 '플렉스'… "또 일 저질렀네" - 머니S
- [Z시세] "2만평 고추밭 제 거예요"… 꿈을 재배하는 20대 농부들 - 머니S
- '61세' 서정희 열애설, "연하의 건축가와 재혼 전제" - 머니S
- 역무원 위협 노숙인 말린 히어로… '잠실역 스파이더맨' 화제 - 머니S
- "초롱이 장가 간다"… 고규필♥에이민 오늘 결혼 - 머니S
- 윤도현, '전국노래자랑' 출연 소감… "국민 오디션 프로서 딩동댕 받아" - 머니S
- "다음 손님 위해 테이블 마무리 좀"… 셀프 매너 강요 '갑론을박' - 머니S
- 김사랑, 농구장에서도 빛나는 동안 여신 미모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