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면서] 인무천일호
한문은 영어와 같이 우리말과 어순의 차이가 있어 ‘인무천일호(人無天日好)’에 대한 우리말 표현은 해석의 여지가 있다.
어순에 충실하자면 ‘천 일이 좋은 사람은 없다’이지만 ‘사람이 천 일 좋을 수 없다’고 풀어 쓸 수 있다. 각각 ‘늘 좋은 사람은 없다’ 또는 ‘사람이 늘 좋을 수만은 없다’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해석 간에 수동과 능동의 차이가 있다. 즉, ‘늘 좋은 사람...’을 이야기할 때 타인에게 좋은 수동의 이타적 성향으로 말할 수 있고 ‘사람이 늘 좋을 수...’를 이야기 할 때는 스스로가 능동적인 긍정적 성향으로 말할 수 있다.
결과론적으로 인간관계를 이야기할 때 모두 좋다는 의미는 될 수 있지만 ‘좋음’에 대한 주체와 객체는 구분된다.
사람에게 천 일이 한결같기는 어렵다. 한결같음에 대해 사람이 주체가 되거나 객체가 되더라도 이 좋다는 성향을 천 일간 지속하기 어렵다. ‘좋음’은 사람의 관계에서 항상 상대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지구 탄생 46억년에 비교한 인류 출현 400만년은 너무나 최근의 일이지만 인간은 두뇌 발달과 더불어 더 오래전에 출현한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원하거나 원하지 않거나 유전적 다양성 속에서, 그 민감도는 호기심과 함께 인간의 두뇌 발달을 이끄는 진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었다.
안정적 편안함을 추구하는 이타적인 수동의 ‘좋음’과 비교해 능동의 ‘좋음’은 안정적 편안함에서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한다. 유전적 다양성에서 능동적 개체가 가지고 있는 이 호기심은 급속한 ‘좋음’을 추구하고 바로 쉽게 지루해진다. 인류의 진화 라인은 능동적 ‘좋음’에 의해 호기심과 지루함으로 진행하고 있는 듯하다.
인류의 서식 환경뿐만 아니라 종교를 포함한 인본위주의 정치 외교적 관점에서 이 능동적 ‘좋음’에 의한 호기심과 지루함의 반복은 늘 작동되고 있다. 능동적 ‘좋음’에 의한 국제적인 갈등 구조는 전쟁, 폭력 등으로 표출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의한 생물종 다양성 파괴, 그리고 그로 인한 멸종 등은 많은 과학적 증거와 추정으로 예견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수동의 이타적 좋음에 의한 안정보다는 능동적 좋음에 의한 호기심과 지루함을 택하고 있음은 400만년의 인류의 진화 라인 결과와 무관하지 않다.
생명론적 관점에서도 ‘천 일 좋음’은 없다. 뇌가 발달된 인류에게는 더구나 그러하다. 그러나 우리 뒤에 남을 인류를 위해 수동의 이타적 성향으로 ‘늘 좋은 사람’이 될 필요가 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늘 좋은 사람은 성립되지 않지만 인간 고유의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가능하다. 인간만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 상상력은 지구의 생명과 존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를 호기심과 지루함의 반복으로 끝없는 갈등구조를 생성하는 능동의 ‘좋음’을 견제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사회는 달리는 호랑이 등 위에서 내려올 수 있을 것이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
- 성균관대 유지범 총장, 대만국립정치대학교에서 명예 교육학 박사학위 받아
- 어린이들에게 사랑 나눠요, 제10회 나눔천사 페스티벌 산타원정대 [포토뉴스]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
- “수고했어 우리 아들, 딸”…“수능 끝, 이제 놀거예요!” [2025 수능]
- 지난해보다 쉬웠던 수능…최상위권 변별력 확보는 ‘끄덕’ [2025 수능]
- 평택 미군기지 내 불법 취업한 외국인 10명 적발
- ‘낀 경기도’ 김동연호 핵심 국비 확보 걸림돌…道 살림에도 직격탄 예고
- 직장 내 괴롭힘에 고작 ‘감봉 1개월’...경기아트센터, 솜방망이 처벌 논란
- [시정단상] 지방재정 안정화 정책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