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풍선·드론 띄우고, 등산로 폐쇄하고…지자체 떨게 만든 ‘이것’

서대현 기자(sdh@mk.co.kr), 이상헌 기자(mklsh@mk.co.kr) 2023. 11. 12. 22: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울산, 산불 감시용 대형 풍선 도입
고공에서 반경 10㎞ 24시간 감시
강릉, 헬기용 물주머니도 미리 확보
경북·제주 등산로 입산 통제 나서
울산시는 겨울부터 봄까지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계절을 앞두고 대형 산불 감시 풍선을 입화산 등 2곳에 띄웠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 2일 울산대공원 남문 광장 인근에 대형 풍선이 떴다. 울산시가 산불 감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산불 감시 풍선이다. 풍선은 지름 3.45m 크기로 지상 100~300m 높이에서 36배 확대가 가능한 고해상도(FHD) 카메라로 반경 10㎞를 관찰할 수 있다. 지상에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주 1회 헬륨가스를 보충하기 위해 하강하는 것을 제외한 24시간 촬영이 가능하다. 초속 22m 강풍에도 견딜 수 있다.

겨울부터 봄까지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계절을 앞두고 지자체와 소방당국이 화재 대비에 분주하다. 특히 산불을 막기 위해 강원도와 경북도 등 전국 지자체는 산불방지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산불감시원과 산불 진화 헬기를 전면 배치하는 등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산림청 ‘2022년 산불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발생한 산불은 756건, 피해 면적은 2만4797ha, 피해액은 직접피해와 복구비 등을 포함해 1조3000억원에 달했다. 특히 2~5월 봄철에 432건(57%)이나 발생했고, 전체 피해 면적의 95%가 집중됐다.

최근 산불의 발생 원인을 보면 부주의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봄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대형산불은 지나가는 차량에서 버린 담배꽁초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산불은 214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산림 1만6300ha와 주택 259동이 소실돼 1985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울산시는 부주의나 예기치 못한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대형 산불 감시 풍선을 중구 입화산과 국가공단 주변에 띄웠다. 시는 산불 예방 효과뿐 아니라 산불감시원이 퇴근해도 24시간 산불을 감시할 수 있어 산불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해 강릉·동해 산불 진화 현장. [사진 출처 = 산림청]
대형 산불이 빈번한 강원도는 동해안 시·군을 중심으로 산불 예방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강릉시는 내달 15일까지 산불 예방 전문 진화대 120명, 산불감시원 140명을 산림 인접지에 배치한다. 산불 진화 헬기를 사전 배치하고, 진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헬기 이동형 물주머니 5개도 사들였다.

양양군도 본격적인 산불 예방 활동에 돌입했다. 군은 이달부터 내달 15일까지 사유림의 39%인 5766㏊를 입산통제구역으로 지정했다. 산불 취약 지역 9곳에는 무인카메라를 설치했고, 드론을 활용해 입체적인 감시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경북도는 입산자 실화를 막기 위해 도내 등산로의 23%인 716㎞를 폐쇄했다. 제주도는 내년 5월15일까지 국가숲길인 한남시험림길 9.4㎞ 구간의 탐방객 입산을 전면 통제한다. 산불 진화용 헬기를 산불 발생 50분 안에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골든타임제도 운용한다.

지난해 3월 발생한 강릉 옥계면 산불.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울산은 산불뿐 아니라 산단 화재 대응을 강화했다. 울산소방본부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울산석유화학공단에 소방용수 공유배관을 설치했다. 산단 내 기업에서 불이 났을 때 소방용수가 부족하면 인근 사업장 공업용수를 공유배관으로 연결해 화재 현장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재순 울산소방본부장은 “지난해 석유화학공단에서 발생한 화재는 진화까지 15시간까지 걸렸다”며 “점차 대형화·장기화하는 화재에 대비해 다량의 소방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산단에 소방용수 공유배관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