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입이 커서 ‘아귀’, 진짜 맛있어서 ‘참치’

엄민용 기자 2023. 11. 12. 20: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귀밑을 스치는 바람이 제법 차가워졌다. 이렇게 쌀쌀해진 날이면 문득 뜨뜻한 국물의 음식이 떠오른다. 대구탕도 그중 하나다. 겨울이 제철인 대구는 기름기가 적어 담백한 맛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 식성에 잘 맞는다. 대구(大口)라는 이름은 한자 그대로 “입이 큰 생선”을 의미한다.

겨울이 제철이면서 입이 큰 생선으로는 ‘아구’도 빼놓을 수 없다. 다만 열에 아홉은 ‘아구’라고 부르는 이 생선의 바른 이름은 ‘아귀’다. 아귀의 어원에는 여러 설이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아귀(餓鬼)에서 나온 이름이라는 것도 그중 하나다. 살아 있을 때 탐욕이 많던 사람이 죽어서 귀신이 된 아귀는 굶주림의 형벌을 받아 생김새가 흉측하고, 특히 입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리 옛 문헌에 생선 이름으로 ‘餓鬼’는 안 보인다. 대신 아귀를 뜻하는 한자어로 ‘안강(鮟鱇)’이 <표준국어대사전> 등에 올라 있다. ‘鮟’과 ‘鱇’ 모두 아귀를 뜻한다. 더욱이 언중 대부분은 ‘아귀’라 부르지 않고 ‘아구’라 한다. 따라서 귀신 ‘餓鬼’ 때문에 생선에 같은 이름이 붙었다는 얘기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보다는 원래 ‘악+위’로 쓰던 말이 변한 것이라는 설이 더 그럴듯하게 들린다. 여기서 ‘악’은 문·턱·입 등의 뜻을 지닌 고유어다. ‘악위’ 역시 이 생선의 특징인 ‘큰 입’ 때문에 생긴 이름으로, 이런 악위가 변한 아귀는 “엄지손가락과 다른 네 손가락과의 사이”를 뜻하는 ‘손아귀’에도 들어 있다. 손아귀도 손의 입처럼 쩍 벌어진다. 게다가 손아귀를 ‘손아구’로 쓰는 사람도 많다.

餓鬼든 악위든 두 가지 설 모두 이 생선의 큰 입 때문에 ‘아귀’라는 이름이 생겼음을 이야기한다. 모든 이름이 그러하듯이 생선의 이름에는 그 생선의 특징이 담겨 있다. ‘참치’도 그러하다. 이 생선의 공식 명칭은 다랑어다. 하지만 1950년대 우리나라에 보급되면서 “진짜 맛있는 생선”이란 의미에서 ‘진치’로 불리다가 한자 ‘진(眞)’이 순우리말 ‘참’으로 바뀐 것이 참치다. 한자어 ‘진과(眞瓜)’가 순우리말 ‘참외’가 된 것과 같은 변화다.

엄민용 기자 margeu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