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낙하산 금배지’ 넘쳐나는데…미국선 “바닥부터 배워와라”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위지혜 기자(wee.jihae@mk.co.kr), 강계만 특파원(kkm@mk.co.kr) 2023. 11. 12. 18: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선 5달 前…정치인 영입 루트 분석
초선 법조인 출신 19대 8명-> 21대 25명
민주당 초선 81명 중 운동권 출신 4분의 1
美상하원 60%는 비즈니스 현장 경험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2대 총선이 5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여야 정치권이 별도 조직까지 꾸리며 인재영입 확보전에 나섰다. ‘새로운 피’를 수혈해 선거 과정에서 바람을 일으키고 국민들 선택을 받아 총선에서 승리하는 선순환을 위해서다. 하지만 과거 정치권의 ‘리크루팅’ 결과를 살펴보면 법조인과 관료 출신에 편중됐다. 야권에선 과거 학생운동을 경험하고 정치권을 맴돌던 운동권 출신이 한 축을 형성했다. 정치가 혼탁해질수록 양질의 인력 충원이 막히면서 정치인 수준도 더욱 낮아지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매일경제신문이 21대 총선에서 당선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의 직업·출신을 분석한 결과 법조인이 25명(17.7%)에 달했다. 20대 총선때는 민주당과 국민의힘 법조인 출신 초선 의원이 각각 2명씩 총 4명에 그쳤다. 19대 총선때 두 당의 법조인 출신 초선이 8명이었던 것을 감안해도 3배로 늘었다. 또한 민주당은 21대 초선 81명 가운데 이른바 운동권 출신이 22명으로 27%를 점유했다.

미국 연방 상·하원은 출신 구성이 완전히 다르다.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경험이 있거나 주정부 등에서 선출직으로 일한 뒤 연방의회에 입성한 사람이 전체 의원의 67.4%에 달한다. 이들은 학창시절부터 정부와 의회 간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선거 캠페인에 관여한다. 연방 의원 다수가 비즈니스 경험을 갖고 있다는 점도 한국과 크게 다른 점이다.

미국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작년 11월 중간선거로 구성된 미국 연방의회 의원 535명(상원 100명, 하원 435명) 가운데 320명(59.8%)이 기업에서 일했거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등 비즈니스 현장 경험을 갖고 있다. 또 새로 당선된 연방 하원의원의 평균 연령은 이전 회기(50.6세)보다 낮은 47.8세다. 그만큼 의회가 젊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엄기홍 한국정당학회 회장(경북대 교수)는 “정당의 목적 중 하나가 인재 양성이며 그런 이유로 국고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 것”이라며 “선거 직전에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하는 것 자체가 직무유기”라고 꼬집었다.

한국에서 정치학교를 운영 중인 최연혁 스웨덴 린네대학 교수는 “결국 공천권자나 기존 국회의원들의 눈도장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니겠냐”며 “새롭게 정치를 해보겠다는 사람들의 ‘정치 채용’ 통로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기성 정치인과의 친밀도 중심으로 인재 영입이 이뤄지고 있다는 비판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