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우주강국 '흔들'… 우주청 속도내야"

고재원 기자(ko.jaewon@mk.co.kr) 2023. 11. 12. 17: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상률 항공우주연구원장
우주개발이 미래 경쟁력 결정
우주시대 컨트롤타워 세워
R&D 통합하고 진두지휘해야
국회 통과땐 내년초 설립 가능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항우연

"뉴 스페이스 시대를 이끄는 스페이스X의 성공 뒤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라는 정부 컨트롤타워가 있었습니다. 새로 설립될 우주항공청이 바로 이런 역할을 해야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 우주항공 연구개발(R&D)을 이끌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이상률 원장은 윤석열 정부가 공약사항으로 추진 중인 우주항공청에 대한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최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이 원장은 "우주항공청 설립에 더 이상 시간을 낭비할 여유가 없다"며 "우리는 우주항공청 설립을 통해 세계적인 우주경제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본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민간이 우주 개발을 이끄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했다. 막대한 투자비용을 쏟아 경제성이 낮았던 정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와 달리 민간기업의 효율성을 무기로 우주개발과 관련해 경제성을 높이고 가속화를 이루고 있다.

뉴 스페이스를 이끄는 대표 기업이 스페이스X다. 재활용 기술로 우주발사체 업계 지각을 뒤흔들어 놓고 과거 실패 전력이 있던 우주 위성인터넷 사업 분야도 회생시켰다. 지난 8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올 1분기 매출 15억달러(약 2조원), 순이익 5500만달러(약 726억원)를 기록했다. 돈을 버는 우주기업으로서 본격적인 우주경제 시대의 서막을 열고 있다.

이 원장은 "스페이스X가 스스로의 자본력과 기술력으로 성장한 것 같지만 사실 NASA가 없었다면 스페이스X도 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2002년 창업 이후 처음 10년간 10억달러(약 1조3205억원)를 투자받았다. 이 중 절반을 NASA가 책임졌으며 정책적으로도 스페이스X를 지원했다. 스페이스X는 현재도 NASA 자금이 가장 많이 투입된 민간 우주기업이다. 스페이스X라는 걸출한 우주기업이 성장한 배경에 이를 진두지휘했던 정부 컨트롤타워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 역시 이를 모범 사례로 삼아 우주항공청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와 과학계에서 2010년대부터 제기돼왔다. 여당과 야당 할 것 없이 모두 목소리를 높였다. 이것이 윤석열 정부 들어 공식화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안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이 원장은 "애초 우주항공청 설립은 한국이 R&D 역량이 부족해서 추진된 것이 아니었다"며 "우주개발이 국방과 외교, 산업, 사회 인프라스트럭처로 작용하는 시대가 됐고 국가 생존에 필수 요소가 되며 우주개발과 관련된 총체적 국가 전략을 조율할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행히 최근 국회에서 우주항공청 설치와 관련해 여야 합의가 이뤄졌다. 이 원장은 "항우연이 산하 연구기관이 되면서 윤 대통령의 공약 취지대로 우주항공청이 R&D를 통합하고 진두지휘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우주항공청 설립은 이제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국회가 정상화되면 이번주 통과도 가능하다. 이 원장은 "올해 법안을 처리한다면 이르면 내년 초 정도에 우주항공청 설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원장은 우주항공청 설립과 운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세계 7번째 우주 강국이라고 하나 앞선 국가들과 격차가 너무 크고 그 차이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면서 "중국과 인도의 약진, 룩셈부르크·아랍에미리트(UAE) 등 신흥국들도 한국의 위치를 위태롭게 한다"고 말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국가별 우주항공청 전략에 따라 우주를 비즈니스 모델로 하는 민간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미국 우주 전문 벤처캐피털(VC)인 스페이스캐피털에 따르면 2014년부터 최근 10년간 전 세계 1796개 우주기업에 투입된 자금은 2839억달러(약 374조원)에 이른다. 한국도 갈팡질팡하는 각개전투식 우주개발에서 벗어나 국가 컨트롤타워를 통해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민간 우주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 원장은 "모든 것은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며 "하루빨리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미비한 것을 고쳐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