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당의 승리는 아주 잠깐”…12·12 사건 그려낸 영화 ‘서울의 봄’ [씨네마진국]

강푸른 2023. 11. 12. 09: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서울의 봄’에서 하나회 일당에게 쿠데타 계획을 설명하는 전두광(황정민).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한국 현대사에 거대한 탐욕의 덩어리가 탄생한 날. '

김성수 감독은 1979년 12월 12일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각자의 사리사욕과 정치적 야심으로 뭉친 수많은 악당이 등장하고 끝내 승리를 거두면서, 한국의 현대사를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바꿔 놓았다는 설명이었죠. 한남동에서 첫 총탄이 발포된 그 날 저녁 7시쯤부터, 반란군이 진압군을 완전히 제압하고 승리를 확신했던 다음 날 새벽 4시에 이르기까지. 오는 22일 개봉하는 김 감독의 신작 '서울의 봄'은 그 9시간을 상상과 현실을 뒤섞으며 집요하고 촘촘하게 다룹니다.

전두광, 노태건, 최한규, 정상호. 12·12 군사 반란 속 인물들의 이름을 아주 조금 바꾼 영화 속 캐릭터 이름처럼, 영화는 결정적 몇 대목을 빼면 그대로 실제 사건 개요를 따라갑니다. 그러나 자초지종을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라도 집중해서 볼 수 있을 만큼 영화는 그야말로 '쫄깃'합니다. 바로 저 순간, 아주 작은 것 하나만 달라졌더라도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었을 장면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생하게 펼쳐지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짧은 찰나라도 사람 하나가 할 수 있는 일은 절대 작지 않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반란군 진압 작전을 두고 반목하는 육군참모차장(유성주)과 헌병감(김성균).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영화의 핵심축은 황정민이 연기하는 전두광 보안사령관과 정우성이 맡은 이태신 수도경비사령관입니다.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태신의 진압군은 각자 전화통을 붙들고 내 편이 되어 줄 사람을 찾거나 상대를 회유합니다. 이때 반란군들이 당부하는 주요 내용은 '가만히 있으라'입니다. 총성이 울렸지만 출동하지 마라. 육군 참모총장이 납치됐지만 찾지 마라. 서울에 전차가 나타나도 아무것도 하지 마라. 까딱 잘못 했다간 멸문지화를 당할 역모의 순간, 구태여 나서지 말고 그대로 있으라는 말은 얼마나 달콤한 권유였을까요.

'인간은 누구나 강력한 누군가가 자기를 끌고 가주길 바란다.' 자유를 원하는 척 굴어도, 속으론 굴종을 사랑하기 마련이라는 영화 속 이 대사는 본성에 기댄 전두광의 세계관을 보여줍니다. 반면 이태신은 인간의 본성을 말하지 않습니다. 대신 '본분'을 이야기하죠. 대사에 직접 담기지는 않지만, 이제 그만하자는 부하의 청을 거절하며 내뱉는 이태신의 짧은 한마디는 사람의 소임이란 무엇인지 곱씹게 합니다.

육군참모총장 체포 재가를 요청하는 전두광 일당 앞에 고민하는 최한규 대통령(정동환).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영화는 이태신의 모티브가 된 장태완 수경사령관 외에도, 격동의 12월 밤 본성 대신 본분에 충실했던 인물들을 골고루 비춥니다. 반란군 진압을 시도한 김진기 육군 헌병감과 혼자서 상관을 호위하다 숨진 김오랑 중령, 그리고 기지를 발휘해 정승화 참모총장 체포의 불법성을 기록한 최규하 전 대통령 등이 각자 극화되어 작지 않은 비중으로 등장합니다.

이들이 끝까지 싸우고 기록하고 증언을 남긴 덕분에, 훗날 반란죄와 내란수괴죄가 입증될 수 있었던 것이라고 김성수 감독은 말합니다. 이틀 뒤 대범하게 승리를 자축하는 기념사진까지 찍은 신군부 세력이지만, 그들의 승리는 아주 잠깐 누릴 수밖에 없는 것이며 결국은 역사의 패배자로 기록될 거라는 생각을 하며 영화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한남동에 살던 19살 김 감독이 실제로 총성을 들었던 그 날, 그 비밀 속 9시간에 대한 44년 묵은 강렬한 호기심이 극장을 찾는 젊은 관객들의 호기심과 만나기를, 그래서 그 일에 관심을 두고 생각해 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요.

비슷한 마음으로 지난해 5월 시작했던 이 칼럼이 이번 편을 마지막으로 끝을 내립니다. 깜냥보다 욕심이 큰 코너였지만, 나름대로 세 가지 원칙이 있었습니다. 첫째, 그 주의 시사 이슈와 연관을 가진 영화일 것.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없더라도, 영화가 품고 있는 질문이나 메시지가 사회 현상과 맞닿은 작품을 고르고 싶었습니다. 둘째, 쉬운 선택을 피할 것. 범죄자가 범행 수법에 참고했다거나, 자극적인 소재가 겹치는 작품 등은 화제가 되는 사건·사고와 직접 연관성이 있다 해도 고르지 않았습니다. 셋째, 실컷 글을 읽고 영화를 찾아보려는 독자들이 헛수고하는 일이 없도록, 극장이나 OTT 서비스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일 것. 저 역시도 영화 리뷰를 읽다가 이런 허탈함에 빠진 적이 많았기에, '영화를 통해 우리 모두 이 주제를 한번 생각해 보자'는 칼럼 취지에 부합하려면 쉽게 감상 가능한 작품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종종 OTT 광고냐는 오해를 받았던 만큼, 이 자리를 빌려 뒤늦게 설명해 봅니다. 그동안 읽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강푸른 기자 (strongblu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