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서 박힌 파편 그대로 있는데…훈장 못받은 96세 美노병 왜?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ifyouare@mk.co.kr) 2023. 11. 11. 22: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전 참전 용사 얼 메이어. [사진 = AP 연합뉴스]
한국전 참전용사인 얼 메이어는 96세가 된 지금도 70여년 전 왼쪽 허벅지에 포탄 파편을 맞았던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의 허벅지에는 아직도 파편이 남아있다. 신경에 너무 가까이 박혀있는 바람에 제거수술이 더 위험하다고 해 그대로 뒀다.

하지만 그는 전투 중 다친 미군에게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퍼플하트’ 훈장을 아직 받지 못하고 있다. 뒤늦게 훈장을 신청했다가 입증 서류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기 때문이다.

AP통신은 10일(현지시간) 메이어의 사연을 소개하면서 전쟁의 혼란과 기록 부족,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 참전용사들이 공훈을 인정받기가 얼마나 어려워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보도했다.

메이어는 1951년 6월 전투 중에 파편을 맞았다고 한다.

그는 훈장 신청 때 제출한 진술서에서 “처음에는 다친 줄도 몰랐다. 하지만 박격포탄이 떨어지는 곳에서 부대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내 바지가 다리에 들러붙었고, 이를 떼어내려 뻗은 손이 피투성이가 된 것을 발견했다”고 돌아봤다.

그는 당시 부상이 당장 전장에서 빠질 정도는 아니었다고 한다. 함께 복무한 다른 군인들에 비해 크지 않은 부상이라고 생각해 퍼플하트를 신청할 생각도 안했다.

그의 세 딸은 아버지가 한국전 때 다친 적이 있다는 건 어릴 때부터 알았지만 자세한 내용은 몰랐다. 전쟁 이야기를 꺼리는 다른 많은 참전용사들과 마찬가지로 메이어 역시 전쟁에서 겪은 일을 많이 언급한 적이 없었다.

그러다 약 10년 전에 아버지가 어떻게 상처를 얻었는지 알게 된 딸들이 그를 설득해 퍼플하트 훈장을 신청했다.

그러나 이를 입증할 기록이 충분치 않다는 점이 걸림돌이 됐다.

당시 그는 전쟁터에서 죽지 않고 살아나왔다는 것을 기뻐하기만 했지 부상 관련 서류를 챙길 생각은 못 했다고 돌아봤다.

다쳤을 때 다리에 붕대를 감아준 의무병이 당연히 제출했겠거니 여겼으나 남은 서류는 없었다. 메이어는 의무병도 전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2005년 미니애폴리스의 보훈병원에서 진찰받았을 때 의사들은 메이어의 다리부상이 전투 중에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보고서에는 가능성이 50대 50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 같은 의견이라도 덧붙여 2020년 퍼플하트 훈장을 신청했으나 육군은 더 많은 입증 서류가 필요하다고 반려했고 지난 4월 최종 거부결정을 내렸다.

메이어는 결국 지난 9월 국방부와 육군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그의 변호사는 이전에 메이어와 유사한 경우에 퍼플하트를 수여한 사례가 있으며 수훈 결정을 의무기록에만 의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