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디지털 파고 속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공공성' 강화 기조의 독일
미디어 환경은 급속하게 변했습니다.
아니 변화하고 있습니다.
더는 텔레비전 앞에 앉아 보고 싶은, 봐야 하는 프로그램을 '본방 사수'를 하거나 신문을 펼쳐 읽는 시대는 지났다는 말이 새삼스럽지 않습니다.
지방분권, 지역 균형발전이 화두이기도 하지만 이런 미디어 환경에 지역 언론은 더 큰 위기를 맞는 게 현실입니다.
그동안 전국, 수도권 언론 매체 중심의 중앙집권적 구조에 치였다면, 이제는 국경이 없는 다변화된 매체와의 경쟁에 놓였기 때문입니다.
예능보다는 뉴스 보도 비중이 높은 지역 언론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뉴스를 보지 않는 '뉴스 회피'가 전 세계, 전 연령대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지역 언론의 역할을 더 위태롭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지역소멸도 당면한 위기입니다.
지역 언론은 어떤 상황일까요?
오랜 지방자치, 강력한 지역 분권으로 지역 언론의 토대가 강한 독일에서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언론의 가장 큰 틀 '지역' '공공성'
독일에서 발행되는 신문은 약 340개입니다.
이 가운데 90%에 달하는 300여 개는 지역 신문입니다.
독일에서 방송의 경우 9개 지역 공영방송의 연합체인 제1공영방송 ARD를 비롯한 3개 공영방송이 있는데요.
2022년 기준으로 3개 공영방송의 시청자 점유율이 50.3%, 다수의 민영방송을 합친 것보다 많았고, 절반을 넘었습니다.
독일에서도 한 가구가 매달 낸 2만 5천 원 상당의 수신료를 냅니다. 이 수신료는 공영방송에 분담금으로 지원됩니다.
방송의 자유는 기본권으로 보고 공영방송은 재정 지원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고 보는 게 독일입니다.
여기에는 과거처럼 방송이 언론이 권력에 악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 전반의 동의가 깔려 있습니다.
빕케 뫼링 도르트문트 공과대학 저널리즘학과 교수 "역사적인 이유로,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합리적인 언론이 필요하다고 필요성을 느꼈었기 때문에 수신료를 처음 제정할 때는 반발이 거의 없었다. 지금도 방송사의 규모, 크기, 수신료 액수에 반발이 있어도 수신료를 받아야 한다는 데 반박은 없다."
최근 독일 지역 공영방송 RBB 경영진이 공적 재원을 부적절하게 쓴 것으로 드러나면서 독일 내에서도 공영방송의 역할 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1개 주에서 수신료 납부 의무에 반발했고 소송으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독일 헌법재판소는 "복잡한 정보의 홍수, 가짜뉴스의 시대에 공영방송의 임무가 더 중요하다"고 판결하기도 했습니다.
제1공영방송 회원사인 서독일방송 WDR 관계자는 "이런 시스템에서 지역 방송은 완전히 독립적이고, 정부가 내용에 간섭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TV 시청은 독일에서도 감소세지만 에센 지역 자체 방송 시청률은 30%대를 보이는 등 전반적으로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지역 공영방송은 일정 비율 이상 수익 활동을 할 수 없는 대신 안정적인 재정 지원, 방송 분담금을 토대로 다문화, 외국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현안을 다루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시청자들이 여전히 지역 방송을 보고, 지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이클 렌츠 WDR 에센스튜디오 편집장 "사람들은 이웃에 무슨 일들이 있는지 분명히 알고 싶어합니다. 무엇이 중요한지, 어떤 일들이 자기 인생에 영향을 주는지. 저희는 매우 근접하길 노력합니다. 제일 중요한 주제들을 편하고 가벼운 방식으로 이야기하고 우리만의 비법은 삶의 모든 분야에서 사람들을 가까워지게 하는 것입니다."
재정 지원이 볼모가 돼 언론에 영향력을 끼치는 위험성을 경계하는 독일의 전제는 국내 미디어 환경, 정책과 사뭇 다른 관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본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KPF 디플로마 로컬저널리즘' 교육 과정 일환으로 작성됐습니다. (사진 제공 로컬저널리즘연수단)
Copyright © 대구M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