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학의’ 봐준 검사 봐준 공수처, ‘검찰 감싸기’ 기관인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 사건을 봐준 혐의로 고발된 당시 담당 검사들을 불기소 처분했다.
2013년 이 사건이 처음 터졌을 때 검찰이 김 전 차관을 무혐의 처분한 것이 의도적으로 봐준 게 아니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검찰이 2019년 재수사에 착수해 김 전 차관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로 기소할 때에는 당시 문무일 검찰총장이 "과거 수사 때 왜 이걸 밝혀내지 못했는지가 더 부끄럽다"며 사과까지 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수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 사건을 봐준 혐의로 고발된 당시 담당 검사들을 불기소 처분했다. 2013년 이 사건이 처음 터졌을 때 검찰이 김 전 차관을 무혐의 처분한 것이 의도적으로 봐준 게 아니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검찰이 2019년 재수사에 착수해 김 전 차관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로 기소할 때에는 당시 문무일 검찰총장이 “과거 수사 때 왜 이걸 밝혀내지 못했는지가 더 부끄럽다”며 사과까지 한 바 있다. 검찰의 이런 행위를 처벌하라고 만든 공수처가 오히려 검찰을 변호하고 나선 꼴이다. 이러니 ‘공수처 폐지론’이 나오는 게 아닌가.
공수처가 밝힌 불기소 처분 사유는 듣기 민망할 정도다. 공수처는 당시 ‘스폰서’ 건설업자 윤중천씨가 김 전 차관에게 뇌물을 준 것을 부인했다는 점을 들었다. 이로 인해 검사들이 김 전 차관의 특가법상 뇌물 혐의를 인지할 수 없었다는 논리다. 하지만 피의자가 공범의 혐의를 부인하는 건 수사에서 흔한 일이다. 자신의 죄가 더 무거워지는데 순순히 혐의를 인정할 피의자가 어디 있나. 이런 점을 고려해 검사에게 압수수색과 같은 강제수사 권한을 준 것이다. 그런데도 당시 수사팀은 김 전 차관의 휴대전화 압수수색은 물론 계좌추적도 하지 않았다. 앞서 경찰이 피해 여성들과 윤씨 운전사의 진술 등을 근거로 신청한 압수수색 영장은 모조리 기각했다. 경찰 수사를 ‘지휘’한 게 아니라 사실상 ‘방해’했다. 이런 사실은 2019년 재수사 때 이미 다 확인된 것들이다. 굳이 서울중앙지검을 압수수색해 10만쪽에 이르는 수사기록을 검토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이다. 공수처는 정작 당시 수사 검사 3명 중 현직에 있는 2명은 서면조사도 하지 못했다. 떠들썩하게 수사 시늉만 낸 셈이다. 그래 놓고 “실체적 진실 규명에 최선을 다했다”고 자평하다니 부끄럽지 않은가.
공수처는 국민의 검찰개혁 바람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기관이다. 검찰의 ‘제 식구 감싸기’를 비롯한 기소권 남용을 견제하는 것은 공수처의 존재 이유다. 이번 결정은 공수처 스스로 존립 이유를 부정한 사례로 남을 것이다. 공수처에는 지금 감사원의 ‘전현희 표적감사’ 의혹과 ‘해병대 수사 외압’ 사건도 고발돼 있다. 이 사건들에도 수사 시늉만 낸다면 공수처 폐지 여론은 더욱 커질 것이다. 해마다 200억원 가까운 세금을 이렇게 낭비할 순 없지 않은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노란봉투법’ 국회 본회의 통과
- 서울지하철 ‘경고 파업’에 2·3·5호선 비상대기열차 투입
- 흙 밖으로 나온 사지뼈, 발치엔 뒤집힌 고무신…73년 전 동막골엔
- “배고파 음식 쓰레기 뒤져” 93살 할머니, 14살 강제동원을 말하다
- 58억 부당이득 혐의 ‘슈퍼개미 유튜버’ 무죄…“정당하다는 건 아냐”
- [단독] ‘로또 아파트’ 미계약 1채, 그룹 실세 사장에 넘긴 현대건설
- 민주, 이동관 탄핵소추안 발의…손준성·이정섭 검사도 탄핵키로
- 홍준표·김태흠도 반대하는 ‘김포 서울 편입’ 김영환 “난 찬성” 왜?
- 아파트 화재 ‘무조건 대피’가 사상자 키웠다…소방청 지침 변경
- 코로나 방역 모범국에 ‘빈대 팬데믹’ 공포…한국 대책에 쏠린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