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메가시티 경쟁력, 도쿄보다 위"

손동우 전문기자(aing@mk.co.kr),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2023. 11. 9.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도시학자 에드워드 글레이저 인터뷰
개방성 亞 최고, 한류·IT로 글로벌인재 흡수

"메가시티 성패의 열쇠는 뛰어난 인재, 유연한 기업, 그리고 이들을 잇는 연결성 세 가지다. 서울은 개방성이 매우 높은 도시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 중 최고의 메가시티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세계적인 도시경제학 권위자인 에드워드 글레이저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9일 매일경제신문과 서면 인터뷰에서 "21세기 메가시티 리전(초광역도시권)의 출현은 피할 수 없는 트렌드이고, 심지어 기존 국가 체계도 이들의 도전을 받고 있다"며 메가시티 필수 요소로 위의 세 가지를 꼽았다.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메가시티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글레이저 교수에게 메가시티의 방향과 문제점 등을 물었다.

글레이저 교수는 먼저 인적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시에 스타트업이 많다는 것은 창업정신이 잘 발휘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한국은 그동안 산업 챔피언(대기업)들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글레이저 교수는 "대기업이 많다는 것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의미지만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며 "서울에서 스타트업이 더 활발했더라면 더 강력해질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동시에 서울이 미국 샌프란시스코나 일본 도쿄 이상의 초광역도시권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글레이저 교수가 주목한 부분은 개방성 측면이다.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한류와 디지털·정보기술(IT)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그는 "서울의 개방성은 아시아에서도 최고의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며 "이를 무기로 인재를 끌어들인다면 세계에서도 선도적인 메가시티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글레이저 교수는 인구 밀집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게 정부의 가장 큰 과제라고 판단했다.

그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거대 도시에서는 이동 문제와 전염병, 범죄율이 높게 나타났다"며 메가시티 조성도 이 같은 부작용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국 실리콘밸리 일대 초광역도시권은 거주지역을 충분히 조성하지 못해 '적정 주택'이 제공되지 않은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서울 편애도 안되지만 지방 편애도 안돼"

글레이저 교수는 메가시티 조성은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한 만큼 정부 역할도 중요하지만 메가시티를 움직이는 활력은 결국 민간 영역에서 나온다며 과도한 개입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정부는 메가시티로 자본과 경쟁력 있는 인력을 끌어들이는 유인책을 마련한 후 시장에서 빠져줘야 한다"며 "메가시티의 궁극적인 경제적 힘은 민간 영역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정부가 과도한 규제로 공간 이용을 제한하거나 기업 진입장벽을 높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집값 문제도 민간 주도의 충분한 공급을 통해 해결할 문제라고 역설했다.

메가시티 논의가 시작되면 항상 제기되는 서울 중심의 '일극화' 우려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글레이저 교수는 "기업이 다른 기업과의 경쟁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것처럼, 도시도 서로 경쟁을 통해 발전한다고 믿는다"며 "중앙정부는 서울을 편애해서는 안 되지만, 그렇다고 다른 지역에 인위적으로 특혜를 줘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메가시티가 탄소중립에 도움이 되는 구상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글레이저 교수는 "인구 밀집도가 높으면 사람들이 더 작은 집에 살게 되고 자기 차보다 도보나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만큼 1인당 탄소배출량이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 홍혜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