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바위 ‘미역밭’ 일구며 공동으로 수확…진도·신안 돌미역채취 ‘국가중요어업유산’

강현석 기자 2023. 11. 9. 13: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 진도와 신안지역 섬에서 이뤄지고 있는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주민들이 갯바위에서 미역을 채취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전남 진도와 신안 섬 지역 주민들은 밀물과 썰물에 따라 수면 위로 드러나는 조간대 갯바위에서 미역을 채취한다. 바위에 붙어 거센 파도를 이겨내고 자란 미역은 전국 최고 품질로 꼽힌다.

주민들은 미역이 자라는 갯바위를 ‘미역밭’이라 부르며 육지의 밭처럼 관리한다.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미역밭을 관리하고 채취도 기계가 아닌 손과 낫만 사용해 함께한다.

진도와 신안에서 이어지고 있는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진도군과 신안군은 “해양수산부가 진도·신안 섬 지역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인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3호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진도·신안 섬 지역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은 옛 선조들의 원시어업 형태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주민들은 미역을 채취하는 갯바위를 ‘곽전’(藿田·미역밭)이라고 부르며 미역을 밭에서 경작하는 작물처럼 여겼다.

주민들은 매년 미역밭 갯닦기와 물주기를 하고 있다. 갯닦기는 밭농사에서 호미로 잡초를 제거하듯 가래나 딱가래라는 도구를 사용해 미역이 자라는 갯바위에 붙은 다른 해조류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물주기는 밭에 물을 주듯 어린 미역이 녹지 않도록 바닷물을 공급해 주는 것을 말한다.

미역을 채취할 때는 ‘미역 낫’만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주민들은 원시적 방식으로 함께 미역을 채취해 분배하는 ‘공동체 어업’도 이어오고 있다.

해수부는 2015년부터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만들어져 온 어업자원 중 보전할 가치가 있는 자원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7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그동안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배어업, 남해 죽방렴어업, 신안 갯벌 천일염업,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통영·거제 견내량 돌미역 트릿대 채취어업, 울진·울릉 돌곽 떼배 채취어업, 부안 곰소 천일염업, 신안 흑산 홍어잡이어업, 경남 거제 숭어 망쟁이 들망어업 등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진도군과 신안군은 “오랫동안 이어져온 돌미역 채취가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돼 어민들의 생계와 문화를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