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내년 韓경제 2.2% 성장…"고금리에 소비둔화·투자 위축"
8월 2.3%보다 낮춰…정부 보다 0.2%p↓
소비둔화에 물가 2.6%·취업자 21만명
"하마스사태·中부동산 경기 등 하방요인“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년 한국 경제가 잠재성장률에 근접한 2.2% 성장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금리 기조로 소비 증가세가 축소되고 건설투자가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난 8월 전망보다 0.1%포인트(p) 낮췄다.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중국 부동산 경기가 악화할 경우 성장세는 더욱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KDI는 9일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2024년 우리 경제는 내수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2% 성장할 전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5월(2.3%)과 8월 경제전망(2.3%) 대비 0.1%p 낮췄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2.2%), 아시아개발은행(ADB·2.2%) 등과 같고, 정부의 7월 전망(2.4%)보다는 0.2%p 낮은 수준이다. 올해 낮은 성장률(1.4%)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2% 내외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 수준에 머무를 거라는 관측이다.
KDI는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산업의 경기가 급격한 위축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경제 회복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민간부채가 크게 누적된 상황에서 고금리 기조는 가계의 소비여력과 기업의 투자여력을 축소하면서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로 인한 상품소비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년(1.9%)과 유사한 1.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8월 전망 대비 0.6%p 눈높이를 낮췄다.
설비투자도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겠지만, 수출의 완만한 회복과 올해(0.2%)의 기저효과로 인해 2.4%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8월 전망 대비로는 0.2%p 상승했다.
건설투자는 주택부문을 중심으로 한 건설수주의 위축을 반영해 8월 전망대비 0.8% 큰 폭의 조정을 받아, 내년 1.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 상품수출의 완만한 회복세와 더불어 서비스수출도 여행수요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3.8%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8월 전망 대비로는 0.2%p 소폭 하향 조정됐다.
경상수지는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내수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올해(319억 달러) 대비 흑자폭이 확대돼 426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경상수지 전망 역시 3개월 전보다 25억 달러 낮아졌다.
상품수지는 상품수출의 확대와 반도체가격 상승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으로 2023년(245억달러)보다 흑자폭이 확대된 456억 달러로 점쳤다.
서비스·본원·이전소득수지는 올해 74억 달러 흑자에서 내년 31억 달러 적자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시행된 해외 배당수입에 대한 법인세 감면의 영향으로 급증했던 본원소득수지가 축소되면서다.
소비자물가는 내수 증가세 둔화로 인해 올해(3.6%)보다 낮은 2.6%의 상승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직전 전망대비로는 0.1%p 상승했다. 근원물가도 수요 둔화의 영향이 점차 반영되며 올해(3.5%)보다 낮은 2.4% 상승할 전망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 8월 전망 당시) 국제유가를 올해 80달러 내외, 내년 75달러 내외로 전제했지만, 올해 내년 모두 85달러 내외로 유가 전제를 상향 조정했다"며 "이에 따라 물가상승률도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내수 증가세 둔화에 따라 취업자 수는 올해(32만명)보다 증가폭을 축소할 전망이다. 내년 취업자 수가 21만명 증가하고, 실업률(2.7%→3.0%)은 상승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다만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노동공급이 확대되면서 내년에도 취업자 수의 증가세는 유지될 것이라 내다봤다.
세계경제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낮은 성장세에 머무를 것으로 봤다. 최근 IMF는 주요국 고금리 기조 장기화와 중국 경기 부진 등으로 내년 세계경제가 올해 (3.0%)보다 소폭 낮은 2.9% 성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내년 원유 도입단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2023년에 이어 80달러대 중반을 기록할 것으로 전제했다.
원화가치는 최근 수준에서 큰 변동이 없을 전망이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여타 중동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할 경우 생산비용 상승과 실질소득 감소로 경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부동산경기가 급락하면서 중국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실물투자가 크게 둔화되는 경우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다고 봤다.
정규철 실장은 "8월 전망 때보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시장금리도 많이 올라갔다"며 "우리 경제 회복세를 조금 더 늦추는 상황이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봤기 때문에 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효리, 스타킹만 신고 과감한 팬츠리스 룩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제왕절개 출산 후 고열로 응급실行"
- "성매매 중독 남편, 불륜 들키자 칼부림 협박…생활비도 끊어"
- "옥경이 치매 멈춰"…태진아, 5년 간병 끝 희소식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김정민 "月 보험료만 600만원…형편 빠듯"
- 19년 만에 링 오른 타이슨, 31세 연하 복서에게 판정패
- 흉기 찔려 숨진 채 발견된 40대 주부…잔혹한 범인 정체는
- 홍진호, 기흉수술 후 아빠 됐다…"콩콩이도 잘 나와"
- 곽튜브, 이나은 논란 마음고생 심했나 "핼쑥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