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휘의 시네필] 계급사회 속 비틀리고 고립된 개인…일상이 호러가 된 세상

조재휘 영화평론가 2023. 11. 9.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범식 감독의 필모그래피에는 은밀한 연속성이 있다.

'기담'(2007)이 낡은 앨범을 꺼내 펼치듯 유신 시대 시점에서 일제강점기를 돌아보는 회고의 옴니버스 호러였다면, '곤지암'(2018)에서는 청년들이 유신 시대 이후 버려진 정신병원의 폐허로 탐색해 들어가며 귀신을 만나는 상황을 파운드 푸티지 형식으로 그린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 노멀’(2023)

정범식 감독의 필모그래피에는 은밀한 연속성이 있다. ‘기담’(2007)이 낡은 앨범을 꺼내 펼치듯 유신 시대 시점에서 일제강점기를 돌아보는 회고의 옴니버스 호러였다면, ‘곤지암’(2018)에서는 청년들이 유신 시대 이후 버려진 정신병원의 폐허로 탐색해 들어가며 귀신을 만나는 상황을 파운드 푸티지 형식으로 그린 바 있다.

‘뉴 노멀’ 스틸 컷.


안생병원과 곤지암 정신병원은 다들 정신적 병리(病理)와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감독이 보기에 한국 근현대사란 뒤틀리고 일그러진 기형(奇形)의 시대이며, 죽음과 공포의 기운으로 얼룩져 살아냈던 모든 이를 병들게 한 어둠의 근원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뉴 노멀’(2023)에 이르러 감독의 관심은 마침내 오늘날 한국사회로 귀착한다. 과거에서 현재로, 점진적으로 후대의 시간대를 향해 이동하는 이 필모그래피의 발전선상은 달리 말하자면 카메라로 서술하는 일종의 연대기라 할 만하다. 시대의 암울한 풍경과 그 안에서 분열되고 무너지는 개인들의 정신병리적 현상에 초점을 기울인다는 점에서 세 영화는 일관된 하나의 흐름으로 묶어 독해해 봄 직하다. 허공에 눈이 흩날리는 가운데 서울 시가지 풍광을 포착하는 항공촬영 숏과 그에 포개지는 아나운서의 뉴스 오프닝은 영화가 지금의 사회상을 조망해 보려는 의도의 산물임을 선언한다. 처음에는 관련 없어 보이던 분자적 개인들의 이야기는 어느 시점에서 교차점을 갖고 동일한 세계의 다른 층위에서 벌어지는 일이란 의미를 갖게 된다.

무언가 확인하려 선을 넘는 순간, 자신의 환상이나 욕망과는 전혀 다른 세상의 실체, 죽음을 만난다는 호러의 규칙은 여기서도 유효하다. 표면과 실체의 괴리, 분열된 정체성의 테마는 에피소드마다 변주를 거듭한다. ‘M’의 우아한 중산층 독신 여성, ‘옳은 일을 해라’에서 학생의 호의에 고마워하는 할머니의 실상은 외양과는 전혀 다른 범죄자이며, ‘개 같은 내 인생’의 편의점 직원은 온라인 게임의 음성채팅 상에선 잘나가는 직장인 남성 행세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이다.

‘피핑톰’에서 옆집 스튜어디스를 엿보는 청년은 망상의 실현을 위해 가택침입을 하다가, ‘개 같은 내 인생’의 편의점 점원은 호기심에 인터넷 댓글에서 예고된 범죄를 확인하려다 봉변을 당하고, ‘드레스드 투 킬’과 ‘지금 만나러 갑니다’에서 연애상대를 찾는 두 남녀는 멜로드라마적 환상을 추적하던 끝에 참극을 마주한다.

배우 이름과 함께 등장인물을 번갈아 보여주는 클로징 타이틀은 영화의 의미를 완결 짓는다. 평범한 일상을 영위하는 여섯 명의 식사하는 모습은 그들이 처한 사회적 위상과 계급성의 차이를 드러내며 한 편의 스릴러 안에 우리 시대 총체적 풍경을 담고자 한 작가적 의도를 드러낸다.


‘뉴 노멀’에는 귀신같은 초자연적 존재가 일절 등장하지 않는다. 아니, 그럴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계급으로 찢기고 나뉘어 어떠한 소통의 가능성도 남지 않은 채, 고립되어 비틀려 버린 개인이 괴물이 된 사회에서, 사람이 곧 귀신이고 우리의 일상 자체가 호러가 돼버렸기 때문이다. 감독의 눈에 오늘날 한국 사회는 이전 근현대사의 특정 시기와 마찬가지로 또 다른 기이(奇異)한 시대로 비쳤을 법하다. 어쩌면 우리는 ‘뉴 노멀’을 두고 ‘기담’과 ‘곤지암’을 잇는 ‘기담(奇談) 3부작’ 완결편이라 명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