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보험심포지엄]테슬라도 보험 파는 시대, 임베디드 보험으로 금융-비금융 허문다
보험사 인슈어테크로 '리스크·건강관리 총괄집사'로
보험-자동차·헬스케어·요양 연계로 판 키워
리스크 테이킹에서 리스크 관리로 역할 변화
실손보험 파는 보험사가 손해율 낮추기 위해
헬스장 운영도 가능해지면
고령화·저출생 시대 '리스크 종합관리자' '집사' 역할
금융당국도 '전향적 규제 완화' 검토
당초 '위험 평가와 감수'를 전담해왔던 보험사들이 이제는 고객 생애에 걸쳐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리스크를 낮출 방법을 알려주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길이 열리는 것이다. 보험사들의 역할도 이제는 '금융 종합 플랫폼' '리스크 관리 집사'로서 역할을 확장할 수 있다.
8일 파이낸셜뉴스가 주최한 제16회 국제보험산업 심포지엄에서는 인슈어테크가 보험사들의 이같은 혁신과 영역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좌장을 맡은 정광민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국내외 인슈어테크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 인슈어테크가 보험산업 수요, 공급 측면에서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질문을 던졌다.
정 교수는 "일본 보험사를 방문해보면 사업 비중이 리스크 평가나 관리, 솔루션에 많이 들어가 있다"라며 "지금까지 사고나 위험과 관련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사들이 이제는 '종합 솔루션 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나. 인슈어테크와 함께 보험사들의 서비스 영역이 어디까지 확대될 수 있나"라고 물었다.
김석영 보험연구원 보험산업연구실장은 "사고로 인한 물질적, 금전적 피해가 있을 때 도와주는 게 보험이다. 지금까지 보험에서 리스크 테이킹(위험 감수)은 있어도 리스크 관리는 없었다"면서 "그런데 기술이 점점 발달하다보니 사고를 예방하고 발생률을 줄이는 단계까지 나아가 보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나오고 있다"고 짚었다. 김 실장은 "이제 보험의 역할은 리스크 테이킹이 아니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고, 우리가 다같이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험이 헬스케어, 요양, 모빌리티, 교육 등 각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김 실장은 "예를 들어 보험회사가 헬스장을 운영하는데 그 헬스장에서 운동 사고에 대한 보험금 지급이 가능하다고 하면 더 인기가 많을 것"이라며 "이제는 보험이 리스크를 테이킹하는 게 아니라 관리도 하고 보험금도 주는 회사로 발전할 수 있다. 과거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인슈어테크를 활용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보험업계 1위 평양생명보험의 차이팅 부사장은 "보험이 사업을 확장하려면 기업의 전략에 맞는지, 보호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지 봐야 한다"라며 "기업 전략을 고려해서 금융서비스나 양로 서비스 제공 등은 두 가지가 다 맞아서 할 수 있다"고 봤다.
메리엄 두이건 영국 노팅엄대학교 금융회계학과 교수는 보험사와 인슈어테크 간 협력과 세계화가 핵심이라고 짚었다. 두이건 교수는 "신한은행이 파트너십을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보험사와 인슈어테크 간 더 많은 협력이 있을 것이고,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파트너십을 맺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 임베디드 보험 활성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간 장벽 허물기도 화두로 올랐다.
김석영 실장은 임베디드 보험에 대해 "테슬라에서 자동차보험을 팔 수 있게 되고 보험이 헬스케어나 다른 사업영역으로 진출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구분이 달라진다"면서 "이제는 '종합 리스크 관리 집사'의 관점에서 생명보험사가 헬스장을 운영하고, 손해보험회사에서도 종합 건강관리, 생활습관 관리 등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실장은 "전통적인 개념의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경우 리스크가 서로 다르다는 판단에 선을 그었는데 사업의 빅블러(영역 간 구분이 흐릿해지는 현상) 시대에 맞게 무 자르듯이 이건 생명보험, 이건 손해보험이라고 칸을 나누는 건 맞지 않다. 감독방향도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간 영역 확대가 커진 만큼 금융당국의 규정과 제도도 바뀌어야 한다는 취지다.
문형진 금융감독원 보험감독국장은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시장 포화 등 상황을 봤을 때 국내 보험사들이 지속가능하게 발전할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며 "중장기 과제로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문 국장은 "금융과 비금융 융합, 보험의 디지털화와 관련해서는 당국도 매우 적극적, 전향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이팅 부사장은 중국에서의 생명보험, 손해보험 구분과 관련 "부채의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상품이라 손해사정도 다르다"라며 "하지만 상품이 아니라 고객 수요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생명보험도 의료와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차보험을 판매하는 손해보험사도 건강 서비스를 넣을 수 있다. 의료·건강이라는 측면에서는 접목 가능하다"고 했다.
자율주행기술이 발전하는 가운데 모빌리티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도 있다. 차이팅 부사장은 "자율주행 기술 발전으로 이제는 택시회사, 버스회사, 리스회사에서 차를 빌려서 책임 구분이 어려워지고 업계가 변하고 있다"라며 모빌리티 등 타 업계의 동향이 보험업계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남편상 사강, 4년만 안방 복귀…고현정 동생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추신수 아내 하원미 "은퇴한 동료 80% 이혼했던데…"
- 김종국 모델 '익스트림 아르기닌', 과징금 5640만원...건강기능식품으로 허위광고
- 한지일, 전재산 100억 잃고 기초수급자 "고독사 두려워"
- "인형에게 모유수유"…20대女, 무슨 일이길래 [헬스톡]
- 이윤진 "'밤일'한다는 루머, 억장 무너져…열애설도 가짜"
- "파병 온 북한군, 인터넷 자유로운 러시아서 음란물에 중독"
- '조롱 논란' 박수홍♥김다예, 딸 출생신고 철회 "비상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