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공매도 땐 패가망신 엄벌…‘이 사람들’ 떠나기전 재개 서둘러야
지난 6일 공매도 금지 조치가 전격 도입된 후 이틀간 증시가 급격한 롤러코스터를 타는 모습을 보였다. 급격한 변동성을 경험한 투자자들이 정부와 금융당국 조치가 일일천하에 그쳤다는 등 볼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번 공매도 금지는 제도를 재설계하기 위한 조치였기 때문에 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무차입 공매도를 원천차단할 전산화는 물론이고 주식을 차입 조건과 관련해서도 개선의 여지는 크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100% 완벽한 개선은 힘들지만 개혁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불법 공매도를 저지를 경우 적발될 확률을 대폭 높이고, 적발되면 너무나 큰 손실을 보게 된다는 강력한 인식을 시장 참여자들에게 심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매도를 악용하는 경우 미국은 최고 징역 20년, 영국은 무제한의 벌금이 부과된다.
우리나라도 그간 여러 제도개선이 이뤄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공매도 주문금액 범위 내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게 했고, 1년 이상의 유기징역과 부당이득액의 3~5배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즉 1억원의 수익을 노리고 50억원의 불법 공매도 주문을 했다면 50억원까지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더 높은 적발사례와 과징금 부과 사례가 축적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까지 우리 금융당국이 부과한 과징금 최고액은 38억원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제도 개선이 완료되면 내년 6월 전이라도 공매도 금지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기화될 경우 외국인 자금의 이탈이 깊이질 것이 우려된다는 이유다.
모 증권사 관계자는 “반도체 경기 등이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올해 비교적 많이 떨어진 한국 증시로 내년에는 외국인 자금이 더 많이 들어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면서 “그때 제대로 외국인들의 수급이 들어오게 하려면 빨리 시장을 정상화 시키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기울어진 운동장’의 대표 사례로 지적된 증거금률 개선은 풀기 쉽지 않은 문제다.
A증권 B팀장은 “억지로 맞춘다면 기관과 개인의 증거금률을 같게 할 수는 있을 것 같다”면서도 “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식을 빌려줄 때의 수수료율은 좀 다를 것”이라고 했다. 마치 은행에서 대출을 할 때 신용도와 담보물에 따라 이자율이 다른 것과 같은 원리다.
B증권 관계자는 “주식을 빌려줄 때의 수수료는 상황과 규모 등 거래 조건에 따라 매번 다르기 때문에 시장가격이라는 것이 없는 것 같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수수료율 보다는 상환기간과 증거금률로 차등을 두었던 것”이라고 했다.
전산화가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실제로 대차거래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C증권 D팀장은 “기관이 증권사에 공매도 주문을 낼 때 증권사 입장에서는 주문을 내는 사람이 차입을 했는지 안했는지 알 길이 없다”면서 “특히나 기관의 경우 나중에 결제일에 기관결제를 통해 금액을 맞추는 계좌를 갖고 거래를 하다 보니 애초에 개인처럼 현금을 걸어놓고 주식을 사는 시스템 조차 아니다”고 헀다.
E증권의 다른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는 예탁결제원을 통해 대차거래가 이뤄지는데, 주식을 빌린 사실을 공매도 주문을 넣기 전에 미리 확인을 하도록 한다면 시차가 발생하게 된다”면서 “공매도 거래라는 게 기본적으로 시장에 존재하는 찰나의 불균형을 이용한 차익거래인데, 시차를 두게 한다면 공매도라는 거래 자체가 무의미해진다”고 진단했다.
이어 “실시간으로 빌린 주식 수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라는 게 어떻게 가능한지 상상이 잘 안된다”고 꼬집었다.
공매도를 통해 주가를 눌러서 수익을 얻는 외국인이 있으면 손해를 보는 외국인은 더 많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F투자증권 G팀장은 “롱숏 전략은 기본적으로 70대 30 또는 80대 20이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쇼트 포지션을 30을 잡으려면 그 두배 정도는 롱 포지션을 깔고 간다는 말이다”면서 “공매도로 주가가 낮아지면 기존 보유물량에서 평가손실이 더 클 것”이라고 했다. 실제 공매도 잔고율이 높다고 알려졌던 호텔신라의 외국인 보유율은 7일 기준 17%를 넘는다.
이달 2일 기준 공매도 잔고율 7.87%와 비교하면 두배가 넘는 것이다. ㄷ부장은 “보유한 주체와 공매도를 한 주체가 다른지 같은지 모르지만, 보유해서 주가가 오르는 것을 기대하는 외국인이 더 많다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게 대박난 ‘이두나’ 촬영지라니…눈앞에 나타난 충격적 장면 - 매일경제
- 과잉관광에 골머리 앓는 일본⸱⸱⸱결국 빼내든 대책 살펴보니 - 매일경제
- “타는 순간 인싸, 나오면 대박”…카니발 노리는 ‘시선강탈’ 독일 아빠車 [카슐랭] - 매일경
- “수심 5m서 1시간 버텼다, 이 車 덕에 살았다”…사람 구한 쉐보레 픽업 - 매일경제
- GTX 조기 개통에 “집값 오른다”…부동산 들썩이는 동네는 어디? - 매일경제
- 이게 다 공인중개사 일?…집 소개하고 복비만 받았다간 ‘낭패본다’ - 매일경제
- “아파트가격 여전히 높아”…매물 쌓이는데 집 살 사람이 없네 - 매일경제
- 서울은 패딩 입을 판인데…日도쿄는 여름, 100년만에 11월 기온 ‘깜짝’ - 매일경제
- “트랜스젠더인데 임신을 믿었다?”…남현희는 공범인가 피해자인가 [저격] - 매일경제
- 류중일 감독은 이의리에게 사과를 먼저 했을까 손가락을 먼저 봤을까 [MK이슈]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