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새 책’ 장만할 서점이 생겼다…섬 신안에 첫 ‘책방’ 열린 날

강현석 기자 2023. 11. 7. 14: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전남 신안군 압해읍에 ‘1004 책방’이 문을 열었다. 이곳은 신안군에 처음으로 문을 연 서점이다. 신안군 제공.

“서점이 문을 열었다는 소식을 듣고 시간이 나자마자 달려왔습니다. 빨리 와보고 싶어서 설레기까지 했다니까요.”

지난 1일 오전 전남 신안군 압해읍 ‘1004 책방’에 만난 이미연씨(55)는 “빳빳한 책장을 넘기며 직접 책을 고를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씨의 집은 압해읍에서 자동차로 한 시간 정도 걸리는 안좌면이다.

그동안 주로 인터넷을 통해 책을 사 왔다는 이씨는 “막상 받아 온 책이 생각했던 내용과 다를 때가 많았다”면서 “책을 직접 보고 고르려면 목포까지 가야 했는데 이제 걱정을 덜었다”고 말했다.

섬으로만 이뤄진 전남 신안에 처음으로 서점이 생겼다. 1969년 무안군에서 분리된 이후 신안에는 그동안 일반 서적을 파는 서점이 문을 연 적이 없다. 지도읍에 ‘서점’으로 등록된 업체가 있지만 주민들을 상대로 영업을 하지 않는다.

‘동네 서점’에 대한 주민들의 갈망은 컸다. 주민들은 인근 목포에서 볼 일이 생겼을 때 일부러 서점을 들러야 했다. 신선희 신안군가족센터 센터장은 “‘읽고 싶은 책을 고르는 일’을 할 수 없었고 ‘베스트셀러’도 인터넷으로 사야했다”면서 “도서관에서 빌릴 수 있지만 ‘헌책’인 데다 ‘소유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한마디로 ‘독서 궁핍 지역’이었다”고 말했다.

지난 1일 전남 신안군 압해읍 1004 책방에서 주민들이 읽을 책을 고르고 있다. 이곳은 신안에 처음으로 문을 연 서점이다. 강현석 기자.

결국 군이 나섰다. 신안군은 주민들이 많이 찾는 가족센터 1층 150㎡에 ‘공공 서점’인 ‘1004 책방’을 만들고 지난달 31일부터 영업에 들어갔다. 책방은 민간위탁을 통해 전문 업체에서 위탁운영 한다. 군은 업체에 매년 8000여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한다.

1004 책방의 넓은 서가에는 문학과 예술, 역사, 자연, 철학, 종교, 어린이 등 책들이 종류별로 가지런히 꽂혀 있었다. 지역에서는 찾기 힘든 전문 서적을 포함해 6000여 권에 이른다. 책방이 문을 연다는 소식에 출판사 4곳에서 1만 권에 달하는 새 책을 기증하기도 했다.

책방 곳곳에는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는 계단식 공간도 마련됐다. 1004 책방은 책도 팔지만 도서관 역할도 겸한다. 신안 주민은 회원으로 가입하면 새 책을 한 번에 최대 3권까지 무료로 빌려 읽을 수 있다.

책방이 문을 연 첫날, 40여명의 주민이 회원으로 가입했다. 책 3권이 팔렸고 빌려 간 책도 100권이 넘었다고 한다. 책방이 들어선 가족센터에는 공동육아 나눔터, 청소년 상담센터, 노인대학, 카페 등도 입주해 주민 왕래가 잦다. 책방에서는 앞으로 작가 초청 북 콘서트, 독서대회 등도 열린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지난 6월 처음으로 조사해 발표한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제공.

전국 농어촌 지역 상당수는 신안처럼 동네 서점이 없거나, 한 곳뿐인 ‘서점 소멸위험 지역’이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지난 6월 처음으로 조사해 발표한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인천 옹진군과 강원 평창군, 경남 의령군, 경북 봉화군·울릉군·청송군에 서점이 한 곳도 없었다.

서점이 한 곳만 있는 ‘서점 소멸위험 지역’은 30곳이나 된다. 전남이 9곳, 강원도 6곳, 전북 5곳, 경북 4곳, 충남 2곳, 충북 2곳, 경남 2곳이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온 가족이 함께 새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주민들이 자긍심을 갖는다”고 말했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