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때마다 똑같은 얼굴 지겨워”…국민들은 ‘새 인물’에 표 줬다
현역 물갈이 비율 더 높으면
그 정당은 더 많은 의석 차지
印이 꺼내든 ‘중진 험지출마’
실패 사례 큰 만큼 위험 높아
여야 막론 험지 당선 정세균 뿐
여야가 공천 룰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역대 총선에선 ‘현역의원 교체 비율’이 높았던 정당이 승리한 경우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에서 들고 나온 ‘중진 험지출마’ 전략은 실패한 사례가 많아 그만큼 위험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매일경제가 6일 최근 네 번의 총선을 분석한 결과 한 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현역 물갈이 비율이 높았던 정당이 더 많은 의석을 가져간 것으로 확인됐다. 2008년 18대 총선에선 38.5%의 물갈이 비율을 기록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이 153석을 얻어 81석에 그친 통합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을 압도했다. 당시 민주당의 물갈이 비율은 19.1%에 머물렀다.
유일한 반대의 결과는 2020년 21대 총선에서 나왔다. 당시 새누리당을 이어받은 미래통합당은 44.6%의 현역 의원을 물갈이했으나 27.9%에 그친 더불어민주당에 오히려 큰 격차로 졌다.
더불어민주당이 180석을 가져갈 때 미래통합당 의석은 103석에 머물면서 참패하고 말았다. 다만 당시엔 미래통합당이 현역 물갈이를 해놓고도 적절한 인물을 공천하는 데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현역 교체 비율이 한국의 선거에서 중요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국민들이 정치 기득권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 선거가 공약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치러지는 정치 풍조도 작용한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혁신의 잣대를 주로 공천, 새로운 인물 영입 등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한국 유권자들에게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파격 공천을 통해 혁신 이미지를 선점하는 정당이 유리하다는 게 정계의 통설”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총선에서도 여야 모두 인물 교체를 통해 표심을 자극할 필요성을 느끼는 상황이다. 특히 수세에 몰려 있는 여당이 더욱 그렇다.
다만 여당에서 인 위원장이 띄우고 있는 ‘중진 험지 출마론’은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생환한 사람은 주호영 의원뿐이었고, 그나마 대구에서 지역구를 옮겼기 때문에 생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역대 총선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험지로 지역구를 옮겨 당선된 사례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 정도가 꼽힌다. 정 전 총리는 15~18대 총선 때 전북 진안·무주·장수·임실에서 4연속 당선된 후 서울 종로로 옮겨 19~20대 의원을 지냈다. 왠만한 거물급이 아니면 험지출마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는 얘기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현역 하위 20% 공천 배제, 영남·중진·대통령 측근 등의 불출마 혹은 험지 출마 등 파격 제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민주당에서도 단순히 비이재명계를 교체하는 수준이 아니라 ‘현역 교체론’ , ‘다선 용퇴론’이 재점화할지 주목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9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역 교체와 관련한 혁신위 제안을 의결할지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여당은 19대 총선에서 박근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현역 25% 공천 배제’를 시행해 승리를 이끌어낸 좋은 기억이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50% 이상 물갈이돼야 새로운 정당으로 국민 앞에 설 수 있고 쇄신의 바람으로 그나마 선거라도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도 6일 총선기획단 첫 회의를 열고 공천방식 논의에 착수했다. 앞서 ‘김은경 혁신위원회’는 지난 8월 경선에서 감점 대상이 되는 현역 하위 평가자 비율을 현행 20%에서 30%로 늘릴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김두관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앞장서야 한다”며 “‘친명 안방, 비명 험지’로 방향을 잡았다가는 100석도 건지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석류 주스’ 시켰을 뿐인데…경찰서 끌려간 리스본 관광객, 무슨일이 - 매일경제
- ‘이병헌 아파트’ 뉴욕 한복판에 떴다…이달 ‘이곳’서 분양 한다는데 - 매일경제
- “차라리 집에서 해 먹는다”…붕어빵 ‘1마리 1000원’에 간편식 인기 - 매일경제
- 폴더블폰 다음은 ‘이것’…삼성도 애플도 내년엔 내놓겠다 ‘속도전’ - 매일경제
- “5개월만에 전셋값이 2억이나 올라?”…이 동네 부동산 무슨 일 - 매일경제
- 조선의 마지막 국모는 ‘일본 황족’…“한일 잇는 가교 될 것” - 매일경제
- [단독] 삼성의 반격…5000만화소 이미지센서, 구글폰에 탑재 - 매일경제
- 선거용 ‘공매도 때리기’ 비판에…“불법, 상상 그이상” 작심발언 - 매일경제
- 세계 최고 ‘갓성비’ 태양전지,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 매일경제
- 최하위→2위, PO 2연패 후 3연승 ‘마법의 리버스 스윕’…놀라운 이강철호의 항해, KS에서도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