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칼럼]잘 나가는 美 경제에도 불안한 민심

여론독자부 2023. 11. 7.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서린 람펠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3분기 GDP 연율 4.9% 놀라운 성장
인플레 2.4%로 내려앉아 진정세
소비자들 고금리 속 지출 여전해도
경제 전망엔 대공황기만큼 부정적
사진 설명
[서울경제]

경제가 좋은데도 미국인들이 마음을 놓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 수치만 보면 미국 경제는 대단히 양호하다. 최근 연이어 나온 고용보고서와 국내총생산(GDP) 보고서는 놀라울 정도로 건실하다. 연방 상무부에 따르면 인플레이션과 계절적 요인을 감안해 조정한 올해 3분기 미국의 GDP는 연율 4.9%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전 분기의 거의 두 배에 달하며 2001년 말 이후 가장 높다. 불과 얼마 전 경제전문가들의 전망과는 몇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놀라운 수치다.

올해 초 서베이에 참여한 민간 경제전문가의 대다수는 임박한 경기후퇴를 전망했다. 이들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을 깎아내리려는 우익 성향의 경제전문가, 혹은 부정적인 언론에 세뇌를 당한 신출내기 학자들이 아니라 정확한 경기 전망을 생업으로 삼는 전문가들이다.

어쨌든 어두운 경제 전망은 두 건의 보고서가 나온 이후 무색해졌다. 말할 필요조차 없이 연율 4.9%의 성장은 때때로 GDP 위축을 동반하는 경기 침체의 영역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놀랍게도 미국 경제는 불과 몇 달 전에 나온 부정적인 예상을 뒤집었을 뿐 아니라 팬데믹 이전인 2020년 1월 의회예산국(CBO)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작성한 올해 3분기 경기 전망치마저 뛰어넘었다. 다른 국가들이 처한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대부분의 국가는 아직도 팬데믹 이전의 전망치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반가운 뉴스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척도는 2.4%로 내려앉았다. 이는 통화 안정을 위해 연준이 목표로 삼는 2%의 물가상승률에 근접한 수치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끌어내리는 데 필요한 경기 침체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물가를 손만 뻗으면 잡을 수 있는 사정권 안으로 끌어들인 셈이다.

GDP 보고서는 1개 분기의 자료에 불과하다. 따라서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성급한 판단은 금물이다. 전쟁, 정부 폐쇄 가능성, 긴축 재정 등 경제에 영향을 미칠 변수 또한 수두룩하다. 그렇지만 임금 상승 데이터를 비롯한 최근의 다른 경제지수들 역시 견고해 보인다.

여기서 두 가지 의문이 생긴다. 첫째, 전문가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한 경제지수가 연이어 나오는 이유가 무얼까. 둘째, 미국인들이 이처럼 긍정적인 수치를 믿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이 두 가지 중 어느 한 가지라도 확실한 정답을 아는 사람은 없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서는 소비자들의 애매모호한 태도다.

지금 소비자지출은 대체로 ‘중력’을 거부하고 있다. 상품의 가격을 띄워 올리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지 않고 있다. 더 많은 지출을 하는 쪽으로 소비 습관이 변한 건지, 남들에게 뒤지고 싶지 않은 소비심리 탓인지, 아니면 그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내심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기 때문인지 알 수 없다. 정확한 이유가 무엇이든 소비자들의 지출이 경제성장에 예상치 못한 탄력을 부여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밝힌 경제 전망은 그들의 소비 행동과 완전히 대조된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에 따르면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대공황 시기만큼이나 암울하다. 당시의 경제 상황은 대단히 심각했다. 차압 위기가 경제 전반으로 번져나갔고 실업률은 9%를 웃돌았다.

어떤 잣대를 들이대건 지금의 경제는 대공황 당시와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좋아 보인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대공황기에 비할 만큼 지금의 경제에 부정적이다. 물론 인플레이션 탓이 크다. 인플레이션은 최근 들어 진정됐다지만 물가고에 혼쭐이 난 소비자들은 여전히 분을 삭이지 못하고 있다. 사실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니다.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과거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중을 격분시키는 최대 요인은 예기치 못한 물가 폭등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고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다른 국가의 지도자들만큼 형편없지는 않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돈 지갑을 닫지 않는 미국 소비자 사이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것도 사실이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와 자동차 대출 연체율이 상승세다. 그러니 모든 게 전부 장밋빛은 아니다. 침체 위험도 완전히 가시지 않았다. 지금 경제에 아무리 불만이 많다 해도 소비자들은 한 가지 사실만은 분명히 기억해야 한다. 지금 경제 상황은 나쁘지 않다. 앞으로의 상황은 더 나빠질 수 있다.

여론독자부 opinion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