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흡했던 초동 조치…도주 길어진 김길수 2차 범죄 우려

이태권 기자 2023. 11. 6. 2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렇게 많은 인원이 동원됐는데도 추적이 쉽지 않은 것은 김길수가 신용카드 대신에 현금만 쓰고 휴대전화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다 김길수의 도주가 장기화되는 것은 아닌지, 그러면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병원 직원복을 훔쳐 입고 도주를 시작한 김길수는 최소 2차례 옷을 갈아입었고, 미용실에서 머리도 자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길수는 과거 성폭력을 비롯해 뺑소니와 사기, 상해 등 여러 건의 전과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많은 인원이 동원됐는데도 추적이 쉽지 않은 것은 김길수가 신용카드 대신에 현금만 쓰고 휴대전화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다 김길수의 도주가 장기화되는 것은 아닌지, 그러면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계속해서 이태권 기자입니다.

<기자>

병원 직원복을 훔쳐 입고 도주를 시작한 김길수는 최소 2차례 옷을 갈아입었고, 미용실에서 머리도 자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기 북부에서 서울로 이동한 뒤 노원과 뚝섬, 고속버스터미널 등으로 계속 옮겨 다니면서 경찰의 추적을 피하고 있습니다.

특히, CCTV가 끊기는 지점을 노려 도보로 이동하고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현금만 쓰다 보니 경찰은 위치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황지안/용산구 : 되게 불안하고… 그런 흉악범이 이렇게 우리 일상 속에서 지금 잡히지 않고 있다는 게 너무 불안하고 무서워요.]

김길수는 지난 9월 싸게 환전해주겠다고 속여 돈 가방을 빼앗아 달아난 혐의로 체포됐는데, 피해금 7천여만 원은 회수되지 않았습니다.

이 돈을 도피 자금으로 쓸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도주가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추가 범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길수는 과거 성폭력을 비롯해 뺑소니와 사기, 상해 등 여러 건의 전과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배상윤/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성범죄 전력이 있고 그리고 이제 폭력적인 성향이 드러났기 때문에 다중시설에서의 인질극 그리고 어떤 침입해서의 범죄 이 두 가지가 가장 걱정됩니다.]

병원에서 김 씨가 도망갈 당시 교정당국의 대처도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김길수가 일부러 플라스틱 숟가락 손잡이를 삼키고 치료를 거부하는 등 이상 신호가 있었지만 경계가 허술했고, 구치소 직원들이 사건 발생 약 1시간 뒤에야 112에 신고해 경찰의 수사 착수가 늦어졌다는 것입니다.

다만, 경찰은 몸 안에 이물질이 있는 만큼 도피가 오래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이상민, CG : 강경림)

▷ 고속터미널 이후 김길수 행방 묘연…3,700명 투입 추적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412740]

이태권 기자 rights@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