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혁신의 상징' 카카오, 철저한 '자기반성'으로 신뢰 회복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혁신의 아이콘' 카카오가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카카오톡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외형 확장을 거듭하면서 미처 살피지 못한 내적 성찰이 결국 곪아 터진 것이다.
'나부터' 위원회 결정을 존중하고 그 결정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그의 말에서 위원회의 실질적인 권한이 카카오 전체를 뒤덮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 이대로는 카카오가 지속 성장하기 어려운 만큼 위원회를 통한 대대적인 쇄신의 바람이 몰아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혁신의 아이콘' 카카오가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카카오톡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외형 확장을 거듭하면서 미처 살피지 못한 내적 성찰이 결국 곪아 터진 것이다.
문어발식 확장, 도덕적 해이, 경영진 구속, 추락하는 주가…. 급기야 카카오와 동의어인 김범수 창업자가 포토라인에 서는 현실을 마주했다. 금융감독원이 작심하고 수사에 나섰고 윤석열 대통령까지 질타하는 상황에서 카카오는 이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 것인가.
카카오 사태는 그 책임이 카카오에 있다는 사실을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금감원 수사는 그 과오를 따지는 과정일 테고, 윤 대통령의 작심 비판은 '변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경고일 거다.
그런 점에서 카카오가 준법 경영 틀을 갖추고 내부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에 나선 것은 주목할 만하다. 최악의 경영 위기를 겪게 된 데 대한 '자기 반성'과 '재발 방지' 차원에서 총체적인 경영 시스템의 변화를 꾀하려는 첫 단추라고 보기 때문이다.
카카오와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하는 외부 기구인 '준법과 신뢰 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에는 김소영 전 대법관이 위촉됐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를 맡게 된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과거 사안에 대한 조사와 검토를 포함해 위원회의 독립적 권한을 인정하고 전 사 차원의 지원을 다하겠다는 김범수 센터장의 각오를 듣고 위원장직을 받아들였다."
'반성'과 '변화'에 대한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의 진심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센터장도 위원회에 대해 "나부터 ‘준법과 신뢰위원회’ 결정을 존중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계열사들의 행동이나 사업에 대해선 대주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나부터' 위원회 결정을 존중하고 그 결정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그의 말에서 위원회의 실질적인 권한이 카카오 전체를 뒤덮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 이대로는 카카오가 지속 성장하기 어려운 만큼 위원회를 통한 대대적인 쇄신의 바람이 몰아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카카오는 위원회 설립과 함께 매주 월요일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여하는 경영회의도 갖는다. 여기에는 김 센터장과 홍은택 대표 등 주요 계열사 CEO 20여명이 참석한다. 준법과 신뢰위원회와 교감하는 한편 경영 쇄신을 위한 후속 조치를 마련하고 실천 과정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가 될 것이다.
"나부터 부족했던 부분을 반성한다"는 김 센터장의 자성과 함께 준법 경영 실태 전반을 점검하고 사회적 눈높이에 부응하는 경영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지금 카카오로서는 매우 절박한 일이다.
일련의 후속 조치에 대해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호통'에 마지못해 내놓은 면피용이라고 혹평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김범수 센터장이 넘어서야 할 과제다. 면피용이 아니라 진정한 자성임을, 카카오가 외적 성장이 아닌 내적 성찰을 갖춰가고 있다는 자기 반성을 말이 아니라 실질적인 결과로서 보여줘야 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수수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택시 업계 의견을 듣겠다는 것도 형식에 그쳐서는 안된다. 관행적으로 해왔던 일들이 누군가에는 '갑질'로 비치지는 않았는지도 짚어봐야 한다. 주가 폭락으로 밤잠을 설치는 주주들을 위해 주주가치 제고방안도 다방면으로 수립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김 센터장이 두번, 세번 사과를 해야 한다.
카카오 사태가 언제 어떻게 마무리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것만은 분명하다. 김 센터장의 반성이 면피용이 아닌 경영 쇄신과 신뢰 회복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것만이 '혁신의 상징'인 카카오를 살리는 길이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자수첩] 보조금 많은 전기트럭 급증에 승용EV는 '충전 난민'
- [기자수첩] 우울증 환자 35%가 청년층이라는데…
- [기자수첩] 정치권 핑계 대고 또 뭉개는 금융위 카드 TF
- [기자수첩] 게임 업계의 젠더 갈등,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
- [기자수첩] 대통령 추모 방식을 바라보는 시선들
- 전 여친 때려 숨지게 한 '거제 교제폭력' 20대男, 12년형 선고
- 코오롱, 3분기 영업손실 166억...적자전환
- 영동군서 50대 남녀 숨진 채 발견…여성은 복부 자상
- 반도체 팹리스 파두, 3분기 매출 100억 영업손실 305억
- 삼성전자 노사, '2023·2024년 임협' 잠정합의…"약 10개월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