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병원 없어…소도시 108곳은 분만 제때 못한다
전국 시·군·구의 43% 달해…응급의료 취약지도 98곳
전문의나 의료기관이 없어 제때 의료 이용을 할 수 없는 분만의료 취약지가 전국에 1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의료에 더해 응급의료까지 취약한 경우는 104곳이었다. 이곳들 대부분은 지역의 군 단위 소도시였다. 정부는 이 같은 수도권 쏠림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 의대 중심으로 증원을 검토하고 있다. 일각에선 지역의 한의대 정원을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온다.
5일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를 보면, 전국 25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만의료에 대한 접근성·의료 이용 취약도를 분석한 결과 43.2%인 108곳이 ‘분만의료 취약지’로 분류됐다.
108곳 중 30곳은 접근성과 의료 이용이 모두 취약한 지역으로 분류됐다. 30곳 중 서울이나 광역시의 기초지자체는 없었다. 대부분 지역의 군 단위 소도시였다.
의료원은 15~49세 가임인구 중 분만실에 60분 이내에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30%를 넘을 때 접근성이 취약하다고 판단했다. 분만실 이용자 중 분만실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60분 이내인 경우가 30% 미만일 때 의료 이용이 취약하다고 봤다.
응급의료센터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한 ‘응급의료 취약지’는 250개 시군구 중 39.2%인 98곳이 해당됐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 1시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하거나 지역응급의료센터에 30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한 인구가 30% 이상인 경우를 응급의료 취약지로 봤다.
전체 시군구 중 분만과 응급 의료 중 하나라도 취약지에 해당하는 경우는 112곳(44.8%)이었다. 역시 서울이나 광역시의 기초지자체에는 없었고, 분만과 응급 모두에서 인천의 강화군과 옹진군만 의료취약지에 속했다. 강원, 전남, 경북 등 군 지역이나 소도시에 몰려있었다.
의료원이 같은 기준을 적용해 분류한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도 인천과 경기의 군 단위 지역, 광역시 외 지역의 소도시 등 27곳이 해당됐다.
정부는 이런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미니 의대’를 중심으로 정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지역의대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역인재 전형 등 지역 출신 학생을 선발해 지역의대를 졸업하고, 수련 후 지역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일각에선 지역의 한의대를 의대로 전환하는 방안도 언급되고 있다.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원자 없어…지방의대 10곳 중 9곳은 추가모집
- 무료 공영주차장 알박기 차량에 ‘이것’ 했더니 사라졌다
- ‘블랙리스트’ 조윤선 서울시향 이사 위촉에 문화예술계 등 반발
- [전문] 아이유, 악플러 180명 고소…“중학 동문도 있다”
- 미납 과태료 전국 1위는 ‘속도위반 2만번’…16억원 안 내고 ‘씽씽’
- 고작 10만원 때문에…운전자 살해 후 차량 불태우고 달아난 40대
- 평화의 소녀상 모욕한 미국 유튜버, 편의점 난동 부려 검찰 송치
- “내가 죽으면 보험금을 XX에게”···보험금청구권 신탁 내일부터 시행
- 경북 구미서 전 여친 살해한 30대…경찰 “신상공개 검토”
- 가톨릭대 교수들 “윤 대통령, 직 수행할 자격 없어” 시국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