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물 끊겼다” 늘어나는 한국…전국 ‘물 사용현황’ 조사한다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3. 11. 5. 19: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전북 임실 섬진강댐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처음으로 지역별 물 수요량과 공급량을 조사하는 ‘전국 물수지 현황 분석’에 착수했다. 산업단지내 용수고갈을 비롯한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분석을 토대로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물재이용 정책’을 활성화해 물부족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5일 환경부 관계자는 “물부족 지역의 재이용수 공급을 위해 지역별 수자원 필요정도와 가뭄 취약 수준을 분석하는 사전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산업단지처럼 물이 필요한 곳과 정수장·하수재이용시설과 같은 물 공급처의 수요·공급량 현황을 파악하는 전국 ‘물 수지’ 현황을 작성한다. 앞으로 벌어질 가뭄의 기간이나 수준을 가정한 뒤 지역별 물 공급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향후 20년 물부족 정도를 추산한 결과에 따라 지역별 수자원 불균형 정도도 따져볼 예정이다.

환경부는 사전 조사를 바탕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 정책을 확산할 방침이다. 빗물이나 주택, 공장에서 쓰고 버리는 물인 하수는 공공하수처리 시설에서 한차례 처리된 후 하천으로 방류한다. 이렇게 방류되는 물을 다시 정화한 뒤 농업·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것이 ‘하수처리수 재이용’이다.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산단에서 개별적인 협약을 맺어 재이용수를 공급하고 있지만 그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2020년 기준 연간 73억7000만㎥의 하수처리수중 재이용 비중은 15.5%(11억4000만㎥)이었다. 이중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활용된 양은 각각 1억900만㎥, 1300만㎥ 뿐이었다. 전체의 1.4%, 0.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초 잇딴 가뭄으로 남부지역 산단의 용수고갈 사태처럼 물 수요가 늘어나자 물재이용 정책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가뭄으로 지역마다 물 수요가 폭증하는 경우 일부 산단에서는 부족 용수를 충당하기 위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재이용수를 받아오는 식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환경부 설명이다.

이에 정부 차원의 물 수요-공급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물재이용 정책 확대와 효율성 증대를 노린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극단적 기후변화로 강우량이 감소해 예측불허의 국지적 가뭄이 빈번해 산업활동 제한이나 수돗물 공급 중단이 현실화됐다”며 “물공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뭄 대응형 물재이용 공급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