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물 끊겼다” 늘어나는 한국…전국 ‘물 사용현황’ 조사한다
5일 환경부 관계자는 “물부족 지역의 재이용수 공급을 위해 지역별 수자원 필요정도와 가뭄 취약 수준을 분석하는 사전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산업단지처럼 물이 필요한 곳과 정수장·하수재이용시설과 같은 물 공급처의 수요·공급량 현황을 파악하는 전국 ‘물 수지’ 현황을 작성한다. 앞으로 벌어질 가뭄의 기간이나 수준을 가정한 뒤 지역별 물 공급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향후 20년 물부족 정도를 추산한 결과에 따라 지역별 수자원 불균형 정도도 따져볼 예정이다.
환경부는 사전 조사를 바탕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 정책을 확산할 방침이다. 빗물이나 주택, 공장에서 쓰고 버리는 물인 하수는 공공하수처리 시설에서 한차례 처리된 후 하천으로 방류한다. 이렇게 방류되는 물을 다시 정화한 뒤 농업·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것이 ‘하수처리수 재이용’이다.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산단에서 개별적인 협약을 맺어 재이용수를 공급하고 있지만 그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2020년 기준 연간 73억7000만㎥의 하수처리수중 재이용 비중은 15.5%(11억4000만㎥)이었다. 이중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활용된 양은 각각 1억900만㎥, 1300만㎥ 뿐이었다. 전체의 1.4%, 0.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초 잇딴 가뭄으로 남부지역 산단의 용수고갈 사태처럼 물 수요가 늘어나자 물재이용 정책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가뭄으로 지역마다 물 수요가 폭증하는 경우 일부 산단에서는 부족 용수를 충당하기 위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재이용수를 받아오는 식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환경부 설명이다.
이에 정부 차원의 물 수요-공급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물재이용 정책 확대와 효율성 증대를 노린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극단적 기후변화로 강우량이 감소해 예측불허의 국지적 가뭄이 빈번해 산업활동 제한이나 수돗물 공급 중단이 현실화됐다”며 “물공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뭄 대응형 물재이용 공급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위 아메리카노’ 떨고 있다고?...하루 6만잔 넘게 팔린 음료 뭐길래 - 매일경제
- 세계 2위 한국기술 인수한 중국 자본…이번엔 직원 ‘자르기’ 논란 - 매일경제
- “강동구 한곳서 2명 15.8억 로또 잭팟 터졌다”…모두 수동 - 매일경제
- “하루 800건씩 적발”…KTX·SRT 등 여객열차 부정승차 기승 - 매일경제
- LG전자가 兆단위 키우겠단 사업…이마트에 둥지 틀었다 - 매일경제
- “강남인데 동대문구보다 집값 싸다고?”…이달 분양 이곳 어디길래 - 매일경제
- '신당' 루비콘강 건너는 이준석 … 부산 찾아온 인요한에 독설 - 매일경제
- 韓가수에 대상 안주려고? 빌보드 K팝부문 역차별 논란 - 매일경제
- “내년 5월 이후 경기침체 올 것...주식시장 하방 리스크” - 매일경제
- ‘K-황소’ 황희찬, 2호 도움+6G 연속 공격 포인트에도…울버햄튼, 셰필드에 시즌 첫 승 헌납 [E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