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때 하수처리수 재활용 물 수요·공급 파악 첫 착수
지역별 취약수준 사전 조사
물 부족한 곳에 재이용수 공급
정부가 처음으로 지역별 물 수요량과 공급량을 조사하는 '전국 물수지 현황 분석'에 착수했다. 산업단지 내 용수 고갈을 비롯한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분석을 토대로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물 재이용 정책'을 활성화해 물 부족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5일 환경부 관계자는 "물 부족 지역에 재이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지역별 수자원 필요 정도와 가뭄 취약 수준을 분석하는 사전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산업단지처럼 물이 필요한 곳과 정수장·하수 재이용시설 같은 물 공급처의 수요·공급량을 파악해 전국 물 수지 현황을 작성한다. 앞으로 벌어질 가뭄의 기간이나 수준을 가정한 뒤 지역별 물 공급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향후 20년간의 물 부족 정도를 추산한 결과에 따라 지역별 수자원 불균형 정도도 따져볼 예정이다.
환경부는 사전 조사를 바탕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 정책'을 확산할 방침이다. 빗물이나 주택·공장에서 쓰고 버리는 물인 하수는 공공 하수처리시설에서 한 차례 처리된 후 하천으로 방류한다. 이렇게 방류되는 물을 다시 정화한 뒤 농업·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게 하수처리수 재이용이다.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산업단지에서 개별적인 협약을 맺어 재이용수를 공급하고 있지만 그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다. 2020년 기준 연간 73억7000만㎥의 하수처리수 가운데 재이용된 비중은 15.5%(11억4000만㎥)였다. 이 중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활용된 양은 각각 1억900만㎥, 1300만㎥뿐이었다. 이는 전체의 1.4%, 0.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초 잇단 가뭄으로 남부 지역 산단에서 용수 고갈 사태가 발생하는 등 물 수요가 늘어나자 물 재이용 정책의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가뭄으로 지역마다 물 수요가 폭증하는 경우 일부 산업단지에서는 부족 용수를 충당하기 위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재이용수를 받아오는 식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환경부 측 설명이다. 이에 정부 차원의 물 수요·공급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물 재이용 정책 확대와 효율성 증대를 노리겠다는 것이다.
[류영욱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위 아메리카노’ 떨고 있다고?...하루 6만잔 넘게 팔린 음료 뭐길래 - 매일경제
- 세계 2위 한국기술 인수한 중국 자본…이번엔 직원 ‘자르기’ 논란 - 매일경제
- “강동구 한곳서 2명 15.8억 로또 잭팟 터졌다”…모두 수동 - 매일경제
- “하루 800건씩 적발”…KTX·SRT 등 여객열차 부정승차 기승 - 매일경제
- LG전자가 兆단위 키우겠단 사업…이마트에 둥지 틀었다 - 매일경제
- “강남인데 동대문구보다 집값 싸다고?”…이달 분양 이곳 어디길래 - 매일경제
- 의대 보낸 부모들 공통점은?... 자녀랑 ‘이것’ 많이 했다 - 매일경제
- “내년 5월 이후 경기침체 올 것...주식시장 하방 리스크” - 매일경제
- “먹을 땐 언제나 진지” “당뇨 조심”…활동 재개 예고한 조민 - 매일경제
- ‘K-황소’ 황희찬, 2호 도움+6G 연속 공격 포인트에도…울버햄튼, 셰필드에 시즌 첫 승 헌납 [E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