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88 프로젝트] "어려서 그렇겠지?"… 막연한 낙관은 금물

최다인 기자·도움말=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2023. 11. 5. 17: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학급 내 1-2명 발현, 과제 수행 어려움
뇌 기능 생물학적 원인…가족간 갈등으로 이어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대표되는 3대 핵심 증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소아 정신질환의 하나다.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아이들이 처음으로 사회화된 기관인 학교에 적응하느라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에 적응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ADHD 아동들은 유치원 때부터 또래 아이들에 비하여 부산하고 통제가 어려우며, 다른 아이보다 시끄럽게 놀거나, 놀이를 할 때도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지 못해, 무례하게 보이는 돌발적인 행동을 종종 한다. 그래서 유치원 선생님 등으로부터 장난이 너무 심한 아이라는 평을 듣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초등학교 입학이라는 구조화된 환경에 들어가면서 확연히 드러난다. 45분간의 수업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어야 하며, 각종 받아쓰기와 읽기 등 인지 능력 중에서도 주의집중력을 요구하는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ADHD에 대해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자세히 알아본다.

◇증상

ADHD 아동 중에는 3대 핵심 증상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이 대체적이지만, 조용하다가도 주의력 결핍이 나타나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도 있다. 주의력 결핍을 보이는 아동은 흔히 부주의한 실수를 많이 하고, 주의집중을 잘 하지 못하며, 아는 문제도 실수로 인해 틀리는 횟수가 월등히 많다.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않고, 조직화 및 체계화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주로 보이는 아동의 경우, 안절 부절 못하고 지나치게 움직이거나, 말을 많이 하거나,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하고 자기 통제력이 떨어지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한 반에 한 두 명이 발견될 정도로 흔한 ADHD는 3대 핵심 증상 이외에도 감정 조절을 잘 못하고, 체계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 저하돼 있으며, 또래 관계에서 문제가 생겨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마찰이 빈번하다.

ADHD의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면담 및 행동 관찰, 설문지 검사,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 인지 평가 등을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된다. 산만하다고 해서 꼭 ADHD가 아닌 경우도 있기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꼭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수적이다. 진료를 통해 산만함이 나타날 수 있는 신경학적 질환, 정서 불안으로 인한 문제 행동, 아동기 조증 등과 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인 및 치료법

ADHD에 대해 흔히 갖는 편견 중 하나가 ADHD의 원인이 잘못된 양육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면 ADHD는 잘못된 양육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뇌 기능의 생물학적인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ADHD 아동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모님들이 일반 아동의 부모님에 비해 더욱 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관적이지 못한 훈육이나 부모의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이 나타나 결국 이차적으로 가족 관계 혹은 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ADHD의 치료를 위해선 약물 치료를 통해 아동의 주의력 개선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 조절 면에서 70-80%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약물 치료 외의 비약물적 요법에는 행동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 부모 교육 등이 있다. 그 중 사회성 기술 훈련은 평소에 눈치가 없거나 충동적이어서 또래 관계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부모 상담을 통해 ADHD 질병과 양육에 대한 교육이 이뤄진다면 부모 자녀 관계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다.

◇주의할 점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녀의 ADHD가 의심된다면, 무엇보다도 부모님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소아정신과 전문의를 찾아 적극적인 평가를 받기를 권한다. "그냥 어려서 그런 거겠지" 하면서 막연하게 낙관하는 것은 결국 더 큰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ADHD를 가진 아동의 70% 이상이 청소년기까지 증상이 지속되며, 청소년기 ADHD의 약 50-65%는 성인기까지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 아동에 비해서 ADHD를 가진 청소년은 학습 능력 저하, 학교 생활 태만, 컴퓨터 게임 중독 등의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한 경우 약물남용, 우울 및 불안장애, 청소년 비행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ADHD 주 증상이 지속돼 나타날 수도 있고, ADHD 증상의 장기간의 합병증으로 상기의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 우울증, 적대적 반항장애, 행실장애 등을 진단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증상이 처음 나타날 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평가를 받고, 필요하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문제 행동을 방지하는 올바른 길이다.

도움말=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