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서브컬처 게임, 본산지 日서 각축전

황순민 기자(smhwang@mk.co.kr) 2023. 11. 5. 17: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 아키하바라 현장 가보니
애니메이션풍 캐릭터 특징
넥슨 개발 '블루 아카이브'
中 '원신' 등과 경쟁 치열

지난달 말 일본 최대 전자상가 밀집지 도쿄 아키하바라 중심가. 이곳에 위치한 대형 광고판과 가판대 등에서는 일본 내수 게임 대신 한국과 중국의 유명 게임 광고가 보행자들의 시선을 강탈하고 있었다.

전 세계 '덕후들의 성지'로 불리는 아키하바라는 게임과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상품 등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대거 몰려 있어 서브컬처 지식재산권(IP)의 최신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전자거리 중심부 교차로 부근 대형 빌딩 벽면에는 중국 호요버스의 인기 게임 '원신'을 홍보하는 광고판이 줄줄이 배치됐다. 아키하바라 투어의 시작점으로 불리는 아키하바라역 건물 입구에는 넥슨게임즈의 국산 게임 '블루 아카이브' 대형 광고판이 이목을 집중시켰다. 아키하바라에서 가장 비싸고 광고 효과가 높은 '핫스폿'을 한중 게임사가 차지한 것이다. 일본 게임보다 완성도가 높아진 한중 서브컬처 게임이 일본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풍경이다.

서브컬처 본고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게임사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서브컬처 게임은 일본 애니메이션풍의 소녀 캐릭터를 내세워 세계관을 만든 게임을 의미한다. 과거엔 특정 마니아층만을 타깃으로 했지만 최근엔 동아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게임 장르로 떠올랐다. 열도 공략을 강화하기 위한 한중 게임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주기적인 게임 업데이트와 컬래버레이션(협업)·이벤트, 서브컬처 성지인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마케팅 등이 대표적이다.

5일 업계 등에 따르면 넥슨게임즈가 개발한 블루 아카이브는 일본 게임 차트에서 흥행 역주행을 기록하고 있다. 블루 아카이브는 일본 시장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국산 IP다. 2021년 2월 일본에 출시된 이후 충성도가 높은 일본 사용자들을 사로잡아 장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6일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T'와의 컬래버 효과로 일본 애플 앱스토어 매출 순위 1위를 3개월 만에 탈환했다. 올해에만 네 번째 일본 앱스토어 매출 순위 1위에 오른 것으로 현재까지도 상위권에 있다.

넥슨게임즈는 블루 아카이브의 일본 누적 매출을 공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업계에서는 일본 출시 이래 50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7~8월 일본과 한국 시장에서의 성과가 눈에 띄게 좋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중국 대표 게임사 호요버스는 '원신' '붕괴:스타레일' 등 킬러IP를 앞세워 일본 시장을 공략 중이다. 서브컬처 게임 원신은 일본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메가히트·스테디셀러 반열에 오른 서브컬처 게임이다. 2020년 9월 출시된 이 게임의 글로벌 누적 매출은 7조원을 훌쩍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원신의 누적 매출에서 일본은 23.3%로 중국(34.3%)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16.5%)과 한국(6.2%)이 뒤를 이었다. 일본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모바일 게임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다. 특히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의 다운로드당 수익(RPD)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21달러)으로 미국(5달러)보다 4배 높고 중국(14달러), 한국(10달러)을 크게 앞선다. 서브컬처 장르에서 게임 출시와 굿즈 판매 등 글로벌 IP 확장을 도모하기에 앞서 본산지 격인 일본은 최적의 테스트베드라는 평가도 있다. 실제로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있는 한국과 중국 퍼블리셔들은 풍부한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미소녀를 테마로 한 모바일 게임 분야(서브컬처)에서 일본을 해외 시장 진출 교두보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다.

[도쿄 황순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