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하고 감정기복이 심해요”…만 명 중 1명 앓는 ‘이 질환’의 정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상 속 누구나 불안감을 느끼고, 감정 상태가 요동칠 수 있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는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고,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인다.
△실제적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함 △주체성 장애: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만성적인 공허함 △부적절하게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예: 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늘 화를 내거나, 자주 신체적 싸움을 함) 등이 대표적인 증상군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상 속 누구나 불안감을 느끼고, 감정 상태가 요동칠 수 있다. 때론 감정에 휩싸여 충동적으로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하지만 정도가 지나치고, 일생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정신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널뛰는 감정과 지속되는 공허함…'경계성 인격장애'란?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란 정서적 불안, 자아정체성 문제, 대인관계 등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를 일컫는다. 취약한 유전적 요인과 일련의 관계 경험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는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고,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다. 대인관계 역시 불안하다. 기분과 행동이 변덕스럽고 극단적일 때가 많기 때문. 아울러, 환자의 약 60~80%는 자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사회적 부담이 높은 질병이다.
국내 유병률은 다른 국가의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은 국내 유병률이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유병률 증가세…여성 유병률, 남성보다 높아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의 맞춤형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했다.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해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을 다룬 최초의 연구다.
그 결과,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된 국내 환자 수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약 1.2배 증가했다. 남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년 1만 명 당 0.81명에서 2019년 0.80명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여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년 1.12명에서 2019년 1.32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20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유병률이 1만 명 당 8.71명으로 가장 유병률이 높았으며, 대전(6.62명)과 대구(5.90명)가 그 뒤를 이었다.
석정호 교수는 “경계성 성격장애의 낮은 국내 유병률은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매우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경계성 인격장애가 자살 위험성과 의료적 부담이 큰 질병임을 고려할 때,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과 국가적 차원의 제도 개선, 예산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재됐다.
“혹시 나도?”…의심되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미국정신의학회는 경계성 인격장애의 진단기준을 대인관계, 자기상 및 정서의 불안정성과 충동성이 성인 초기에 시작되고, 9가지의 증상군 중 다섯 가지 이상 나타나는 경우로 삼고 있다. △실제적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함 △주체성 장애: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만성적인 공허함 △부적절하게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예: 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늘 화를 내거나, 자주 신체적 싸움을 함) 등이 대표적인 증상군이다.
경계성 인격장애가 의심되면 정신의학과를 찾아 진단받고,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망상장애, 조현병, 기분장애 등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서도 병원 방문이 중요하다.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 시 상담을 통한 진단 치료와 인지행동 치료, 약물 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김가영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악력 센 노인, '근감소증' 위험↓...'이것' 섭취하면 악력 증가해
- [카드뉴스] 불면증이라면 '이렇게' 해보세요
- ‘갱년기’ 치료가 꼭 필요할까?...도미노처럼 질병 밀려온다
- 잦은 지각에 딴짓…성인 ADHD 환자, ‘이 질환’ 위험 11.6배↑
- 지루할 때마다 ‘더 먹는’ 우리 아이…‘감정적 섭식’이라고요?
- 수능 끝나면 늘어나는 쌍꺼풀 수술…무작정 했다간 2번, 3번 재수술 할지도
- 현대인에게 비타민 B6가 생각보다 중요한 이유는?
- 내년부터 가격 10배 오른다는 ‘인공눈물’, 집에 쟁여놔도 될까? [건강톡톡]
- 트윈데믹 우려에 ‘UDCA’의 코로나19 예방효과 주목
- 5일 이상 기침 계속된다면 감기 아닌 '이것' 의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