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비 ‘찔끔’, 외식 메뉴 “너무 올렸다” 왜?.. “복합요인” vs “타당성 미흡”
“출고가 대비 메뉴 상승 폭 너무 커”
소주 등, 판매가격 인상 수준 ‘과도’
상품값 제자리걸음→ 외식 등 식당가↑
먹거리 등 체감물가 연쇄 압박 가중
최근 ‘먹거리 물가’ 급등 요인으로 가공업체와 음식점 등 서비스업체의 판매가격 인상 추이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 사실 원재료가 되는 농식품 등 가격 상승분보다도 인상 폭이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이 잇따르는 실정입니다.
실례로 원유(原乳)값이 오르자 우윳값을 올리고, 재차 빵·과자류 가격의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밀크플레이션(밀크+인플레이션)’을 비롯해 육류와 주류 출고가 인상을 이유로 식당 메뉴판 가격이 줄줄이 올라버리는 상황이 대표적입니다.
제조사들은 원재료 가격 상승에 맞물려 출고가격을 올리는데, 외식업체는 더 높은 가격의 메뉴판을 제시하면서 결국 최종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 폭만 더 가중시킨다는 지적입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국산 쇠고기와 수입 쇠고기 10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3.1%, 0.1% 하락했습니다.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시중 판매가격은 떨어졌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식당에서 사 먹는 쇠고기 외식 물가가 2.2%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돼지고기 물가도 0.2% 떨어졌는데 삼겹살 외식(2.8%)과 돼지갈비 외식(4.3%) 물가는 모두 상승세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식당에서 사먹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메뉴 가격이 더 올랐다는 말입니다.
라면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가 가격 인상 자제를 요구했더니 라면 물가가 1.5% 하락한 반면, 라면 외식 물가는 6.1% 크게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주류도 외식 물가 상승 폭이 컸습니다. 10월 소주(0.4%)와 맥주(1.0%) 물가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인 반면, 식당과 주점에서 파는 소주와 맥주 가격이 각각 4.7%, 4.5%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막걸리 물가 역시 0.4% 오르는 데 그쳤는데도 외식 부문 막걸리 가격이 3.5%나 상승했습니다.
소주 등 출고가는 한 자릿수 인상됐는데, 식당에서 파는 소주 가격은 1병당 4,000~5,000원이던게 5,000~6,000원대로 20%대 오르는 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하이트진로가 오는 9일부터 소주 출고가를 7% 올리고, 맥주 출고가를 평균 6.8% 인상합니다. 앞서 오비맥주는 지난달부터 주요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6.9% 올렸습니다. 이처럼 주류업계가 10~11월 잇따라 출고가를 올리면서, 시중 음식점 등 식당 메뉴로서 소비자들이 접하는 외식업계 물가는 재차 뛸 것이란 관측이 더해집니다.
관련해 외식업계는 재료비 인상 요인만이 아니라 전기·수도·가스 요금 여기에 인건비 상승까지 복합적인 요인이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단순히 원재료 인상 폭과 외식업계 물가 인상 폭만 가지고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지만, 원재료값 인상 폭에 비해서 외식업 물가가 너무 높다는게 정부 당국의 시각이기도 합니다.
또한 외식업 물가 뿐만 아닌 일반 음식료품의 시중 판매가격도 ‘꼼수’ 인상이란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3분기 생필품 조사 결과, 가격 상승이 가장 높은 5개 품목은 케첩(28.3%), 마요네즈(23.3%), 쌈장(19.5%), 아이스크림(18.6%), 어묵(18.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장류 가격이 크게 올랐는데, 이는 장류의 원재료가 되는 대두(수입)와 밀가루, 천일염 등의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특히나 장류는 여러 외식 품목에 폭넓게 원가 부담을 가하면서 가격 추이에 더 촉각이 모아지는 실정입니다.
관련해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오비맥주가 환율 불안과 각종 원부자재 가격 상승,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원가 부담을 가격 인상 이유로 들었지만, 원가 분석 결과 타당성이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맥주 원재료인 국내산 맥주맥 가격이 1kg 기준 2021년 평균 1,036.80원에서 지난해 평균 988.22원으로 4.7% 하락했고 또 다른 원재료인 호프(홉)도 작년 가격이 2021년 단가 평균 대비 7.0%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오비맥주 측은 “국산 맥주의 원재료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같은 기간 맥아의 국제 시세는 48% 이상 급등했다”고 반박했지만, 협의회는 “무리한 가격 인상”이라며 인상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이같은 가격 상승 구조는 우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유를 중심으로 한 ‘밀크플레이션’ 역시도, 가격 인상 파장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비판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낙농진흥회가 낙농가 생산비 상승을 반영해 지난달 1일부터 우유에 사용되는 원유 기본가격을 리터(L)당 88원(8.8%) 올리면서 10월 우유 물가는 1년 전보다 14.3% 올랐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8월(20.7%) 이후 14년 2개월 만에 최대폭이자 첫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분유도 1년 전보다 10.6% 상승했습니다. 올들어 2월(11.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연유·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사용되는 원유 가격이 87원 오른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분윳값 상승률은 지난 2월 이후 한 자릿수를 유지하던게, 지난 달 다시 10%대로 진입했습니다.
우유·분유 가격 상승은 이를 원재료로 한 빵·과자류 물가까지 연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아이스크림만 해도 지난 달 가격이 15.2% 올라 전달(14.0%)보다 더 큰 상승 폭을 보였습니다. 빵값은 지난해 11.8% 오른 데 이어 올들어 1∼10월까지 전년 대비 10.1% 상승세를 이어갈 정도입니다. 1∼10월 치즈값도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이미 23.1% 올랐습니다.
10월까지 초콜릿·파이·두유값 상승률도 지난해 대비 각각 15.6%, 10.3%, 10.9%에 달합니다.
외식업체 등은 빵·과자에 들어가는 유제품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고 수입 멸균우유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밀크플레이션’ 우려는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곡물·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식품 물가 수준이 이미 높게 형성됐다는 점에서 향후 우윳값 상승이 식품 물가를 충분히 자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