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1000병 시음이 버킷리스트”…‘키다리 아저씨’ 한기범이 소믈리에 된 사연[이헌재의 인생홈런]

이헌재 기자 2023. 11. 5.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와인 시음과 고미술 수집을 새로운 취미로 갖게 된 한기범 한기범희망나눔 대표가 자신이 모은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한기범 제공
1980~1990년대의 농구 스타 한기범의 소원은 “예순까지 사는 것”이었다. 207cm의 장신인 그에게는 심혈관계 희귀 질환인 마르판 증후군 가족력이 있었다. 아버지와 남동생이 이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이 질환으로 사망하는 환자 대부분의 사인은 심장마비다.

그도 검사를 받아보니 같은 질환이 발견됐다. 30대 후반이던 2000년에 첫 심장 수술을 받았다. 은퇴하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라 직접 비용을 댔다. 하지만 40대 중반이던 2008년 두 번째 수술 때는 한국심장재단을 통해 수술비를 지원받았다. 잇단 사업 실패 등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1963년생인 올해 그는 예순이 됐다. 환갑의 나이에도 건강하고 즐겁게 산다. 소원이 이뤄진 셈이다.

기아자동차 시절 한기범이 고려대 현주엽을 막고 있다. 동아일보 DB
사회에 큰 빚을 졌다고 생각한 그는 사단법인 한기범희망나눔을 만들어 2011년부터 심장병을 앓는 아이들을 돕기 위한 자선 경기를 열기 시작했다. 주변에선 ‘한두 해 하다 말겠지’ 하는 시선도 있었다. 하지만 그에겐 열정과 끈기, 오기가 있었다. 올해 9월에는 서울 송파구 잠실학생체육관에서는 심장병 어린이 돕기 ‘2023희망농구올스타’ 자선경기란 이름으로 13번째 대회가 열렸다.

남녀 프로 선수들과 연예인들이 선수로 참가했다. 체육관을 가득 메운 관중들은 십시일반 기부를 했다. 이렇게 모인 돈으로 1년에 5명 안팎의 어린이들이 수술을 받고 새 생명을 얻는다. 재단은 첫 자선 경기 이후 100명 넘는 어린이들에게 수술비를 지원했다. 재단 대표를 맡고 있는 한기범은 심장병 어린이들의 ‘키다리 아저씨’가 됐다.

2011년 자선시합에서 리버스 레이업 슛을 시도하고 있는 한기범 . 동아일보 DB
어릴 적 키가 크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농구 선수가 된 그는 1980~1990년대 농구대잔치 시절 최고의 센터였다. 이전의 키만 큰 선수와는 달리 유연성이 좋았고 스피드도 빨랐다. 기아자동차 시절엔 허재, 김유택 등과 더불어 농구대잔치 7연패의 주역이 됐다. 다만 프로농구가 출범하기 전 은퇴해 프로 기록은 없다. 그렇지만 여전히 그는 한국 농구의 레전드로 평가받는다. 한국 농구에서 처음 나온 수준급 장신 센터였기 때문이다.

한국농구연맹(KBL) 기술위원을 지내기도 했던 그는 재단 활동과 함께 자신의 이름을 건 한기범 농구 교실 등을 통해 아이들을 가르친다. 여전히 높은 인지도 덕분에 방송 출연도 종종 하고 가끔 광고 모델 활동도 한다.

그는 지금도 일주일에 두 번씩은 직접 코트를 누빈다. 월요일은 연예인 농구단 ‘더 홀’에서 경기를 뛰고, 주말에는 동호인 농구팀인 ‘팀 리바운드’에서 경기를 한다.

현재 소속되어 있는 동호인 농구팀은 40~60대 선수들 수십 명으로 이뤄져 있는데 그는 여기서도 여전히 ‘센터’로 뛴다. 이 팀에는 엘리트 농구를 했던 선수 두 세 명이 더 있어 시니어 농구의 최강팀 중 하나가 됐다. 그는 “처음 나갔던 한 대회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선수들이 뛴 동호인 팀에 지고 말았다. 하루에 4게임을 했는데 도저히 체력이 따라가지 못했다”며 “거기에 자극을 받아 체력관리를 열심히 했다. 최근에 열린 시니어 농구대회에선 우리 팀이 우승했다. 선수 시절에도 우승을 많이 해 봤지만 역시 우승은 기분이 좋더라”라고 말했다.

지난해 백두산 천지를 찾은 한기범 대표. 한기범은 어릴 적부터 역사를 좋아했다고 한다. 한기범 제공
플레이 스타일은 현역 선수 때와 비슷하다. 키는 컸지만 몸무게가 80kg 중반밖에 나가지 않았던 그는 몸싸움에 약했다. 그는 요즘도 최대한 몸싸움을 피한다. 잘못 부딪치면 부정맥이 생길 수 있어서다. 하지만 슛의 정확성만큼은 지금도 일품이다. 그는 “4, 5m 거리에서는 언제든 골을 넣을 자신이 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공이 림을 통과하는 즐거움은 말로 설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은 60대 선수로 뛴다. 한국도 시니어 농구가 발전하고 있지만 대만이나 태국, 중국 등에서는 이미 시니어 농구가 활성화되어 있다. 기회가 되면 그런 팀들이 출전하는 국제대회에 나가 우승을 하고 싶다”고 했다.

젊은 시절 그는 빼빼 마른 몸도 큰 콤플렉스였다. 아무리 먹어도 체질적으로 살지 찌지 않았다. 그는 “나도 다른 센터들처럼 큰 덩치로 골 밑을 버티고 싶었다. 그래서 살을 찌우려고 밥솥째 밥을 먹어보기도 했다. 최대 90kg까지 찌웠지만 더 이상 늘지 않았다”고 했다.

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게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점프를 많이 하는 농구 선수를 하면서 그는 젊은 시절 발목과 무릎 수술을 받았다. 지금 그가 건강하게 걷고 뛸 수 있는 건 그나마 몸무게가 가볍기 때문이다. 그는 “지금도 두 경기까지는 거뜬히 뛴다. 무리하지 않고 살살 뛰면서 8쿼터까지는 가능하며”며 웃었다.

운동을 게을리하면 무릎이나 발목이 더 아프기에 그는 가능한 한 자주 걷는다. 하루에 최소 한 시간 정도는 걸으려 한다. 동네를 걷다가 농구를 하고 있는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있으면 즉석 3대3 농구을 하기도 한다.

두 차례나 심장 수술을 받았던 한기범은 예순이 된 요즘도 건강하고 즐겁게 살고 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심장이 좋지 않은 덕분에 그는 와인 소믈리에가 됐다. 선수 시절 소주 3, 4병을 기본으로 마셨던 그는 심장병 수술 이후 한동안은 전혀 술을 입을 대지 않았다. 건강을 많이 회복한 후 의사에게 “술을 마셔도 되냐”고 묻자 그 의사는 “가끔 와인 한두 잔만 마시라”고 했다.

이때부터 그는 와인을 마셨다. 그런데 한 자리에서 한두 잔 밖에 마실 수 없으니 아주 조금씩 음미하면서 마실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와인의 맛을 깨닫게 됐다. 새로운 와인을 음미하는 새로운 취미를 갖게 된 그는 와인 1000종류 시음을 새 버킷리스트로 정했다. 현재까지 그는 약 400종류의 새로운 와인을 맛봤다. 그는 새 와인을 마시면 맛과 느낌 등을 평가한 뒤 자기만의 별점을 주고 있다.

그는 “상식적인 이야기지만 비싼 와인일수록 맛있는 경우가 많았다”며 “하지만 마트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1~2만 원대 와인 중에서도 정말 기대 이상의 값어치를 하는 와인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시간이 날 때는 지방을 돌며 옛날 그림이나 골동품도 수집하고 있다. 중학생 때부터 역사를 좋아했다는 그는 그림이나 골동품을 통해 그 속에 담긴 스토리를 알게 되는 게 재미있다고 했다. 그렇다고 비싼 물품을 사 모으는 건 아니다. 시골 등에서 파는 10만 원 안팎의 싼 그림을 구경하고 가끔 구매하곤 한다. 그렇게 200여 점의 그림을 모았다.

한기범이 동호인 팀에서 농구를 하고 있다. 압도적인 신장을 자랑하는 그는 여전히 최고의 센터다. 한기범 제공
농구인으로서 그는 농구 유튜브인 ‘한기범TV’도 운영하고 있다. 몇 해 전 썼던 ‘한기범의 재미있는 농구 코칭’이라는 책에 썼던 농구 기술들을 유튜브용 영상으로 제작하고, 예전 농구대잔치 때의 경기도 편집해서 올리고 있다. 그는 “한기범희망나눔은 심장병 어린이 후원과 함께 다문화 가정 어린이 후원, 농구 꿈나무 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며 “힘든 환경에 놓인 아이들이 농구를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됐다는 말을 들었을 때 가장 뿌듯하다. 모든 아이들이 밝게 웃을 수 있게 최선을 다해 나눔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