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는 것 절반이 식비로, 힘들 수 밖에”.. 먹거리 지출 부담, 소득 따라 천차만별
먹거리 물가 10년 만에 연속 5%대
소득 1분위, 처분가능소득 절반 ‘식비’
“낮은 소득 층위에 지출 부담 집중”
올들어 지난달까지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물가가 5% 이상 크게 올랐습니다. 2011년 이후 처음 3년 연속 5%대를 넘기면서 물가 압박 추이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먹거리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가계 압박 비중을 높였는데, 체감도는 달랐습니다.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은 쓸 수 있는 돈, 즉 가처분소득의 절반 수준까지 식비에 쏟을 정도로 살림살이 유지에 상당한 부담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지수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정 기간을 지난해 같은 시기와 누계비를 기준으로 비교한 것으로, 누계비 기준 올해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6월까지는 5% 이상을 유지하던게 7∼9월 4.9%로 하락했다 지난달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크게 올랐고 2021년 5.9%, 지난해 5.9%를 기록했습니다. 이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까지 3년 연속 5% 수준을 웃돌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식품 물가 상승률이 3년 연속 5%를 넘는 상황은, 2009∼20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그 전에는 관찰되지 않던 패턴입니다.
끊임없는 가격 상승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 궤도에 올랐고 결과적으로 가공식품 등 가격도 오르는 추세로 보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 이상기온까지 겹쳐 과일·채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품목별로 지난 1∼10월 생강이 지난해보다 97.0% 상승해 가장 많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당근(33.8%)·양파(21.5%) 등의 채소류와 드레싱(29.5%), 잼(23.9%), 치즈(23.1%) 등의 가공식품도 20% 넘게 올랐습니다. 과일 중에선 귤(18.3%), 사과(17.2%)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외식 등 음식서비스 물가는 더 큰 폭으로 고공행진 중으로 1∼10월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보다 6.4% 올랐습니다. 세부적으로 피자(11.5%), 햄버거(9.6%), 김밥(8.9%), 라면(8.6%) 등인기 품목의 상승률이 두드러졌습니다.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7.7% 올라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같은 먹거리 물가 오름세는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에 더 부담이 될 것이란 관측입니다.
2021년부터 지난 2분기까지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5만 8,000원으로, 같은 기간 월평균 처분가능소득(87만 9,000원)의 29.4%를 차지했습니다.
3분의 1 수준인데 여기에 음식서비스(식사비)로 지출한 금액(13만 1,000원)까지 더할 경우 1분위 가구는 식비로 월평균 39만 원(44.4%)을 썼습니다. 사실상 식비로 쓰는 돈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 수준에 달한다는 얘기입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 비중은 소득 2분위 25.7%, 3분위 22.4%, 4분위 19.8%, 5분위 14.5% 등으로 소득이 낮을 수록 컸습니다. 그만큼 먹거리 물가 상승에 따른 지출 압박이 소득이 낮은 층위로 집중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부는 이상기온에 따른 농작물 등 생육시기 지연으로 최근 농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다면서, 연말로 갈 수록 가격 안정대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실제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3일 배추 1포기당 소매 가격은 평균 3,611원으로 3,000원대로 내려왔습니다. 한달 전(6,612원)보다 45.4%, 평년(4천133원)보다 12.6% 각각 낮은 수준입니다.
더불어 정부는 배추와 무 등 김장 재료에 대한 할인 확대와 함께 수입 과일과 식품 원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등 먹거리 물가 안정 대책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또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갖고 상시 물가 대응 체계를 구축·가동하기로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