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유독 中인민은행이 금을 많이 사는 이유는?[차이나는 중국]
[편집자주] 차이 나는 중국을 불편부당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지난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은 분기 기준 역대 세 번째로 많은 337t(톤)의 금을 사들이며 금 보유량을 계속 늘렸다. 올 들어 9월까지 전 세계 중앙은행이 매입한 금은 800t에 달한다. 작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규모다.
터키, 인도, 폴란드, 우즈베키스탄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금을 매입했지만,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왕성한 식욕을 뛰어넘지는 못했다. 올해 1~9월 인민은행은 181t의 금을 사들였다.
그런데 인민은행은 금 보유량을 늘린 반면, 미국 국채는 줄이고 있다. 2018년 이후 감소한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규모만 약 4000억달러에 달한다. 거꾸로 가는 중국의 금과 미국 국채 보유를 살펴보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이 달러를 무기 삼아 러시아 은행들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에서 퇴출시킨 이후, 일부 중앙은행이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에 나선 것도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을 늘린 요인 중 하나다.
특히 중국인민은행은 지난해 11월 이후 11개월 연속 금을 매입했다. 지난 3분기에는 78t의 금을 매입하며 1위를 차지했고 폴란드(57t), 터키(39t)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 세계 중앙은행이 1081t의 금을 매입하며 사상 최고기록을 경신한 이후 금 매입 추세가 둔화되리라고 예상됐지만, 중앙은행들은 올해도 금 매입을 지속했다.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는 올해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 규모가 지난해 수준(1081t)에 육박하거나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의 금 보유량은 아직 세계 1위와는 차이가 크다. 지난 6월 기준 전 세계 중앙은행 금 보유량 순위에서 인민은행은 2113t으로 6위를 차지했다(9월말 기준 보유량은 2192t). 금 보유량 1위인 미국(8133t)과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며 2위인 독일(3353t)보다 1000t 넘게 적다. 다만 중국이 공격적인 금 매입을 지속한다면 3위 이탈리아(2452t)에는 조만간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104t으로 세계 중앙은행 중 36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2013년 11월 1조3167억달러로 정점을 찍었으며 2018년에도 1조2000억달러에 육박했으나 불과 5년여 만에 3분의 1이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잔액 감소는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평가액 감소 영향이 크지만, 작년 11월 이후 일본 등 주요국들의 미국 국채 보유잔액은 증가하는 등 중국과는 상이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규모는 2019년만 해도 1위였으나 계속해서 국채를 팔면서 일본에 이어 2위로 하락했다. 지난 8월말 기준, 일본이 1조1162억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은 8054억달러로 2위다. 3위 영국(6981억달러)보다는 1073억달러 많은 규모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계속 파는 이유는 뭘까. 일각에서는 중국이 미국 국채를 내다팔아서 채권 값을 떨어뜨리고 국채 금리를 높임으로써 미국 정부의 부담을 키우려는 목적이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미국 국채 가격이 떨어지면 미국뿐 아니라 8000억달러가 넘는 미국 국채를 보유한 중국도 손해다. 그보다는 중국이 추진 중인 외환보유고의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위안화 국제화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 리스크를 계기로 가속화되고 있다는 게 더 정확한 설명이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발발 이후 미국이 중국으로부터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추구하든 '디리스킹(탈위험)'을 추구하든 미·중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중국 최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도 최근 미국의 금융시스템 무기화가 중국 등 일부 국가에게 자산 다변화의 중요성을 상기시켰다고 지적한 바 있다. 중국 입장에서는 3조115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에서 약 60%를 차지하는 달러 비중을 낮추려고 시도할 법하다.
계속되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등 미국 제재가 중국 경제 및 금융을 위협할 수 있는 잠재 요인으로 여겨지면서 중국이 미국 국채를 늘리기보다는 줄일 동기가 커진 것이다. 중국 입장에서의 디리스킹(탈위험)이라고도 할 수 있다. 향후 중국의 미국 국채 매도가 계속 이어지고 자산 다각화 측면에서 금 보유량은 늘려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전청조 '긴머리' 과거사진 공개…동창 "본인 부고 문자 보내기도" - 머니투데이
- '마약·은퇴 번복' 박유천, ♥태국 사업가와 결혼 전제 열애 중 - 머니투데이
- "양념치킨서 바퀴벌레" 환불 요구하며 보낸 사진에…사장님 '황당' - 머니투데이
- 박보영 "연휴때 카페 알바"…백종원 부르며 한숨 쉰 사연은? - 머니투데이
- "1억 들여도 임신 안돼" 고민에…아이 7명 둔 美아빠가 나섰다[월드콘] - 머니투데이
- 野 "상상도 못했다" 與 "사죄해야"…이재명 1심 '중형'에 엇갈린 희비 - 머니투데이
- "여 BJ 녹음은 사적대화, 난 당당"…8억 뜯긴 김준수, 마약에 선긋기 - 머니투데이
- 안개 낀 주말 아침 날벼락…삼성동 아파트 충돌한 '헬기' [뉴스속오늘] - 머니투데이
- 전현무 생일 앞두고 찾아간 여인…수라상·맞춤 케이크 '깜짝' - 머니투데이
- 지코 "'아무노래' 발매 전날 쇼크로 응급실…수치스러웠다" 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