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뒤 내가 치매 걸릴지 예측 가능하다" ..뇌의 '이 부분' 잘 살펴 미리 진단 [헬스톡]

문영진 2023. 11. 4.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억력과 학습을 담당하는 뇌 부위 '해마'를 분석해 20년 후 치매에 걸릴지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해마'의 신진대사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징후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는 생쥐의 뇌 부위 '해마'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기억력과 학습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 '해마'가 바짝 마른 호두처럼 쪼그라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 아직 제한적 치료만 가능해 예방이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파이낸셜뉴스] 기억력과 학습을 담당하는 뇌 부위 ‘해마’를 분석해 20년 후 치매에 걸릴지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해마'의 신진대사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징후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는 생쥐의 뇌 부위 ‘해마’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기억력과 학습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 '해마'가 바짝 마른 호두처럼 쪼그라든다. 이 '해마'의 신진대사 증가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징후라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생쥐의 시냅스(뇌 신경세포 연결망)에 나타나는 변화를 전자현미경과 기타 기술을 이용해 관찰 연구했다. 시냅스는 뇌 신경세포의 접합부로 한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지점이다.

그 결과 단백질을 분해하고 그 성분을 대사하는 ‘자가포식소체(Atophagosome)’라는 소포제가 시냅스에 쌓여, 제 기능을 하는 단백질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신진대사의 변화는 뇌에 치매 유발 단백질(아밀로이드 플라크)이 쌓이기 전에 나타날 수 있다. 이런 변화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영상에서 관찰된 것과 일치하는데, 이번 연구 결과로 그런 변화를 더 빨리 알아챌 수 있게 됐다.

게티이미지뱅크

동물실험 통해 알아낸 스웨덴 연구팀 "치매, 초기 발견이 중요"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여러 단계에서 어떤 유전자가 해마 세포에서 활성화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RNA 시퀀싱 기술을 이용했고,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단계 중 하나가 미토콘드리아 대사의 증가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페르 닐손 부교수(신경생물학)는 “세포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증가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지표라는 것을 밝혀냈다”며 “해마 부위 및 미토콘드리아의 신진대사를 잘 살피면 알츠하이머병 발생을 약 20년 전에도 미리 알 수 있다”고 했다.

또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을 늦추는 치료제가 출시되기 시작하면 이 병을 일찍 발견하는 것이 특히 중요해진다”고 설명했다.
#알츠하이머 #치매예측 #해마신진대사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