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닭 벌레’ 무해하다는 김홍국 하림 회장에 식약처 “이물질로 나온 게 문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림의 생닭에서 벌레가 나온 것과 관련해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인체에 해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물질로 발견된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림 생닭에서 나온 벌레가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원재료로 등록은 돼 있지만 들어가서는 안 되는 곳에 들어간 이물질로써 발견된 만큼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취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림의 생닭에서 벌레가 나온 것과 관련해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인체에 해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물질로 발견된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3일 식약처 관계자는 “이물질로 나온 거저리과 유충이 식품 원료로 인정되는 건 사실이지만, 먹을 수 있는 것이어도 원래 생닭에서 나오는 물질은 아니기 때문에 ‘이물’이 맞는다”며 “이물질이 맞으니 행정처분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하림 생닭에서 나온 벌레가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원재료로 등록은 돼 있지만 들어가서는 안 되는 곳에 들어간 이물질로써 발견된 만큼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취지다.
김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하림산업의 어린이 라면 ‘푸디버디’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친환경 농장은 소독약을 쓰지 못해 벌레가 많을 수밖에 없다”며 “인체에 해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하림 생산공장에 납품한 ‘하림 동물복지 통닭’에서 벌레가 대량으로 나왔다. 정읍시와 방역업체가 조사한 결과 해당 이물질은 딱정벌레의 일종인 거저리과 유충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림은 식약처로부터 경고 조치를 받았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행정명령 서명
- 국내서 만들어 수출하는 제네시스, ‘트럼프 관세’에 美 판매 비상등
- ‘1회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 전기차 혁신 이끌 차세대 배터리 나왔다
- [절세의神] 부부 공동명의 1주택자 과세특례 신청?… 60세 미만·보유 10년 이하면 불리
- 수출 100억달러 돌파한 K뷰티… 위조품과 ‘전쟁 중’
- [초고령사회 유망 기업] ②“재외국민도 휴대전화로 상속 완료”…日 에이지테크놀로지
- [K의료기기 프론티어] 우울증·치매 부르는 이명, DTx·전자약으로 치료
- ‘하루 두 잔’ 가당 음료, 혈당 대사 개선하는 박테리아 죽인다
- [인터뷰] 배리 아이켄그린 “트럼프發 무역 전쟁·금융 혼란 온다… 韓 수출시장·생산지 다변화
- [르포] 높아진 환율에 손님 ‘뚝’ 떨어진 남대문 수입품 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