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작 논란’ 없는 10대들의 귀신 빙의 챌린지…늦가을 공포영화 큰 녀석이 온다 [리뷰]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3. 11. 3. 10: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흥행 호러 ‘톡 투 미’ 등 늦가을 개봉 공포영화들

촛불을 켜고 탁자 위 마네킹의 가짜 손목을 잡는다. 그리고 말한다. “톡 투 미(내게 말해봐).” 고개를 들면, 반드시 탁자 앞에 죽은 자의 악귀가 앉아 있다. 저건 진짜 악귀이지만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 빙의 시간 90초를 넘기지 말고, 마네킹에게서 손을 떼면 다시 현실세계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옆자리 친구들은 검은 동공이 동전처럼 커질 정도로 놀라 자빠지는 주인공 표정을 보고도 그저 낄낄 댄다. 녀석들은 방금 벌어진 ‘빙의 챌린지’를 동영상으로 찍은 뒤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에 올리며 즐거워 한다. ‘주작이냐, 아니냐’의 논쟁이 벌어져도 문제 없다. 어차피 빙의 현장에서 빠져나오면 그만이니 말이다. 탁자 주변 친구들은 너도 나도 손목 마네킹과 악수하고 귀신을 ‘체험’하려 든다.

영화 ‘톡 투 미’ 한 장면. [올랄라스토리·롯데컬처웍스]
실망스러운 완성도 때문에 높은 티켓값과 배우의 이름값이 때로 아깝게 느껴지는 요즘 극장가 비수기에, 웰메이드 공포영화 한 편이 극장가를 찾았다.

호주 쌍둥이 감독 다니엘 필리푸·마이클 필리푸 감독의 신작 공포영화 ‘톡 투 미’다. 로튼토마토 신선도지수 95%, 제작비 대비 20배 수익을 이미 거뒀고 미국 유명 영화배급사 A24의 최고 흥행 호러물로 평가받는 수작이다.

영화 ‘톡 투 미’ 한 장면. [올랄라스토리·롯데컬처웍스]
‘톡 투 미’ 주인공은 흑인 여학생 미아다. 그녀의 친구들은 ‘죽은 자의 손’이라 불리는 마네킹 손을 탁자에 올려놓고 떠들썩하게 ‘빙의 파티’를 연다. 우리나라로 치면 두 사람이 하나의 펜을 쥐고 귀신의 글씨씨체를 보는 ‘분신사바’, 유럽의 심령 대화용 점술판 ‘위저 보드’와 같은 식이다. 마네킹의 손을 잡은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악귀. 그러나 손을 놓으면 공포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미아와 친구들은 위험한 게임을 즐기면서도 두려움이 없다.

하지만 사람 일이란 건 늘 규칙을 벗어나기 마련이고, 결과도 사람의 이성 범위를 초월하는 법. 미아의 친구 동생인 라일리가 누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빙의에 도전한 뒤 사건이 벌어진다. 라일리의 첫 번째 빙의 순간에 하필 2년 전 세상을 떠난 미아의 엄마가 나타났다. 엄마를 그리워 하던 미아는 라일리에게 허락된 약속시간을 넘겨버리고, 라일리는 빙의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채 그곳에 갇혀버린다.

영화 ‘톡 투 미’ 한 장면. [올랄라스토리·롯데컬처웍스]
영화 ‘톡 투 미’가 보여주는 설정은 독특하다. 미아를 비롯한 학생들이 악귀과 귀신이 실재하는 존재인지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호기심에 찬 눈빛들은 악귀가 왜 그곳에 앉아 있는지, 또 어떤 사연인지엔 무관심하다. 더욱이 마네킹 손을 잡으면 왜 악귀가 등장하는지에 관한, 시각적 정보의 인과관계에도 무심하다. 그들은 그저 악귀를 만난 매개자(빙의 당사자)가 악귀의 외모를 보고 놀라는 장면에만 관심을 둔다.

그 이유는, 빙의를 위한 방에서 벌어지는 공포와 불안의 현상을 벗어나는 일이 ‘계산 가능하다’는 확신 때문이다. “90초 안에 빠져나올 것. 그리고 손을 놓을 것.” 하지만 규칙을 어기면서 통제능력을 상실하고, 그 틈으로 악귀가 현실 세계에 개입하면서 극복 여부에 초점이 맞춰진다. 영혼이 들러붙을 때 공포에 휩싸이는 건 등장인물뿐만이 아니라 그걸 보고 있는 객석의 관객이기도 하다. 초현실적인 변수가 생기면서 공포가 극대화된다. ‘톡 투 미’는 그 과정에서 설득력이 높다.

영화 ‘톡 투 미’ 한 장면. [올랄라스토리·롯데컬처웍스]
공포영화 장르론에 따르면 영화 속에 등장하는 무수한 악귀는 ‘억압된 것들의 귀환’을 상징한다. 억압된 것들은 시대에 따라 얼굴을 바꿔왔다. 괴물은 때로 자본이었고(영화 ‘에일리언’ 시리즈), 정상적인 인간과의 경계가 모호해진 좀비(수많은 좀비 시리즈)이기도 했다. 흥행하는 공포영화는 시대의 잠재적 무의식과 가장 친연적이다. 주인공 미아가 겪었던 모친의 자살로 인한 내면의 억압 심리, 여기서 비롯된 미아의 트라우마 극복 과정이 이 시대의 관객과 공명할지는 지켜볼 일이다.
영화 ‘쏘우X’ 한 장면. [라이언스게이트]
12월 13일에는 전설적인 호러물 ‘쏘우’의 10번째 작품 ‘쏘우X’가 개봉한다. 살인게임 창시자 존 크레이머(직쏘)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시간적 순서는 ‘쏘우2’의 직후를 다룬다. 극단적이 죄악에 대한 사적 단죄의 딜레마를 묻는 시리즈 ‘쏘우’는 미국 유명 영화제작사 라이언스게이트 신작이다.

암환자인 존 크레이머는 치료를 위해 멕시코로 떠나 의료진을 만나지만, 신뢰했던 의사들이 진짜가 아닌 사기꾼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 이어 암이 전혀 치료가 되지 않았다는 걸 알게 된 크레이머는 사기꾼 의사들에게 ‘게임’을 제안한다. “It‘s time to play a game”이라는 문장은 쏘우 세계관을 압축한다.

직쏘가 만들어낸 ‘살인 게임’ 중 최악의 게임은 ‘직접 하는 뇌수술’이다. 크레이머는 자신이 받았던 수술을 사기꾼 의료진도 받게 하는데, 문제는 본인이 직접 본인의 수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직접 뇌의 일부를 잘라 유리병 안에 넣으면 게임이 끝난다.

영화 ‘쏘우X’ 포스터. [라이언스게이트]
영화관 공기를 싸늘하게 식힐 늦가을 공포영화는 ‘톡 투 미’뿐만이 아니다. 영화 ‘엑소시스트: 믿는 자’는 1973년 개봉했던 ‘엑소시스트’ 50주년을 맞아 새롭게 만들어진 공포물이다. ‘엑소시스트’가 어떤 영화였던가. 영화를 보던 관객들이 의자에 앉은 채로 졸도하거나, 심지어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례까지 나왔던 전설적 공포의 영화다. 2층 계단에서 거꾸로 뒤집혀 내려오는 ‘스파이더 워크’로 유명한 ‘엑소시스트’는 이번 신작에선 두 여아의 이상증세를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영화 ‘엑소시스트 : 믿는 자’ 한 장면. [유니버셜 픽쳐스]
친구인 안젤라와 캐서린이 등교 이후 실종된다. CCTV엔 책가방을 맨 두 아이의 모습이 찍혔지만 둘은 자취를 감추고 사라졌다. 경찰과 부모까지 포기를 고민했던 실종 3일째. 아이들이 기억을 잃은 채로 돌아온다. 그날 이후 아이들이 이상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보지 못하던 것을 보거나, 듣지 못하던 것을 듣거나. 며칠 뒤, 피칠갑을 한 잠옷을 입은 캐서린이 미사 중인 성당 복도를 걸어오며 외친다. “살과 피, 살과 피….” 퇴마의식이 시작되고, 퇴마사들은 두 아이의 심장이 동시에 뛴다는 걸 알게 된다. 한 아이를 살리려면 한 아이가 죽는 딜레마. ‘신의 장난’을 어떻게 벗어나야 할까.

영화 ‘엑소시스트 : 믿는 자’ 한 장면. [유니버셜 픽쳐스]
15일 개봉하는 공포영화 ‘프레디의 피자가게’는 유명한 인디 호러 게임인 ‘파이브 나이츠 앳 프레디(Five Nights at Freddy’s)’의 실사영화다. ‘겟 아웃’ ‘메간’을 제작했던 미국 호러전문 제작사 블룸하우스 신작이어서 흥행이 예고됐다.

생활고에 시달리는 마이크는 구직 끝에 피자가게 야간경비로 일하게 된다. 아무도 오지 않을 것만 같은 피자가게, 그러나 객장에선 자꾸 뭔가가 움직이는 것만 같다. 이 피자가게는 1980년대에 5명의 아이들이 인근에서 실종되면서 오래 전 폐쇄된 장소다. ‘애니메트로닉스’로 불리는 폭시, 보니, 치카, 프레디 등의 캐릭터들은 겉보기엔 귀여워 보이지만 밤중의 피자가게에선 눈빛이 달라진다.

영화 ‘프레디의 피자가게’ 한 장면. [유니버셜 픽처스]
한국 공포영화도 늦가을 공포영화 대열에 합류했다. 8일 개봉하는 영화 ‘뉴 노멀’은 ‘기담’ ‘곤지암’으로 유명한 정범식 감독의 신작이다. 배우 최지우의 7년 만의 스크린 복귀작이기도 하다. ‘뉴 노멀’은 ‘인연은 우연과 조건이 맞아떨어지는 순간 만들어진다는 명제에서 시작된다.

일상 속 익명의 타인과의 관계에서 빚어지는 공포감을 다뤘다. 아파트에 혼자 살지만 좀처럼 웃음기 없이 무표정한 표정을 짓은 현정, 스마트폰 데이팅 앱을 통해 타인을 만나려는 현수 등 6명의 공포를 담아냈다. 옴니버스 형식이지만, 하나의 이야기로 귀결된다.

영화 ‘뉴 노멀’ 한 장면. [바이포엠스튜디오]
늦가을 공포영화가 개봉하는 이유로는 대작 텐트폴 영화의 참패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제작비 수백억원의 영화들이 팬데믹 해제와 함께 극장에 동시적으로 개봉하면서 상대적으로 제작비가 적은 영화들은 뒤로 밀렸다.

하지만 흥행배우들도 여름 대목과 추석 대목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손익분기점을 달성한 영화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더 문’ ‘비공식작전’ ‘1947 보스톤’, ‘거미집’ ‘천박사 퇴마연구소’ 등 제작비 수백억원의 영화들도 관객에게 차갑게 외면 받았다. 반면 제작비 50억원으로 손익분기점을 넘은 데다 칸영화제에서 호평까지 받은 영화 ‘잠’처럼 웰메이드 소형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기대감은 높아진 상황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