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칼럼] 이·팔 전쟁, 미국이 중재해야

여론독자부 2023. 11. 3.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리드 자카리아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이 '하마스 공격' 과잉반응으로
더 끔찍한 폭력사태 이어질 우려
美 '9·11' 대응 실패 교훈 삼아
적극적 '중동 중재자' 역할 필요
[서울경제]

이번 중동 위기는 국제 무대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현실적인 위치를 여실히 보여준다. 워싱턴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는 않을지 몰라도 미국을 대신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마땅한 ‘대타’가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 같은 영향력을 유지하려면 미국은 지금보다 현명하게 행동해야 하고 이제까지 해온 것 이상을 해내야 한다.

하마스의 공격으로 시작된 중동 위기 이후 러시아와 중국의 움직임은 눈에 띄지 않는다. 지난 수년 동안 양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중동 지역에 진출했다. 러시아는 이스라엘과 우호 관계를 구축했고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외교 재개 촉진에 힘을 보탰다. 그럼에도 가자 위기 이후 러시아와 중국은 그 어느 쪽도 긴장 해소에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미국은 처음부터 적극 개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먼저 하마스의 테러 공격을 규탄하고 이스라엘과의 연대를 강조했다. 미국의 분명한 입장을 밝힌 후에는 ‘조심스러운 충고’로 중심축을 이동했다. 그는 이스라엘을 향해 분노에 사로잡혀 성급하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9·11 사태’를 예로 들어 “전대미문의 테러 공격으로 분노와 두려움에 사로잡힌 워싱턴은 성급한 대응으로 참담한 실수를 저질렀다”고 시인했다.

이스라엘이 그의 말에 귀 기울이기를 바란다. 바이든의 지적대로 9·11 이후 일련의 참담한 결정을 내렸던 미국은 아직도 대가를 치르고 있다. 당시 미국은 수십만 명의 인력과 24개 기구를 하나로 아우르는 ‘국토 안보’ 관료 시스템을 급조했다. 또 대통령의 권한을 극적으로 확대했고 정부 기밀을 추가했으며 테러리스트 피의자들에 대한 고문을 사실상 허용했다.

워싱턴의 군사전략 역시 처음부터 결함을 보였다. 9·11을 직접 계획하고 실행한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기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야심 찬 접근 방식을 취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말을 빌리자면 “테러리스트들과 그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한 자들”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결국 미국은 알카에다뿐 아니라 탈레반과도 장장 20년간 전쟁을 치렀고 끝내 패했다. 전쟁과 관료제 확대 등으로 압축되는 미국의 9·11 대응에는 무려 8조 달러의 가격표가 붙었다.

이스라엘이 취해야 할 교훈은 분명하다. 가자에 지상군을 투입하는 것은 하마스 테러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다. 이스라엘은 단순 대응 차원을 넘어 대담하고 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것이 현명한 방법일까. 가자에서 지상전을 벌일 경우 이스라엘군은 테러 분자들을 상대로 위험천만한 소탕전을 펼쳐야 한다. 또한 가자 지역에 참혹한 인도주의적 비극을 초래해 아랍 국가는 물론 세계 여론마저 등을 돌리게 만들 것이다.

설사 이 모든 과정을 거쳐 승리한다고 해도 이스라엘이 얻는 것은 무엇일까. 하마스 이후 가자를 다스릴 새로운 자치정부와 이를 인정하지 않는 저항 세력 사이의 무력 다툼은 누가 수습할 것인가. 이런 일에 개입할 국가는 한 곳도 없을 것이며 결국 모든 뒤치다꺼리는 온전히 이스라엘의 몫이 된다. 이스라엘의 전설적 전사이자 극우파 정치인이었던 아리엘 샤론이 가자에서 손을 뗀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테러리즘의 노림수는 과잉 반응을 유발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최상의 대응은 자제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조심스러운 대응을 촉구한 바이든의 다음 행보는 팔레스타인이 독립국가 수립이라는 열망을 달성할 정치적 경로를 제공하도록 이스라엘 정부에 압력을 가하는 일이다. 수십 년간 미국은 집권당에 상관없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효과적인 중재자로 활동했다. 팔레스타인 관리들은 마틴 인디크, 데니스 로스와 같은 미국 외교관을 전폭적으로 신뢰했다. “협상을 통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이라는 목표를 위해 지칠 줄 모르는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미국은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에 테러리즘을 포기하고 이스라엘을 인정하라고 압력을 행사했지만 그와 동시에 이스라엘에도 정착촌 건설을 중단하라는 압박을 가했다.

이런 모든 노력은 팔레스타인 수뇌부의 이기적이고 우유부단한 태도와 연이어 들어선 이스라엘의 우익 정부가 두 국가 공존 해법을 거부하면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끝났다. 이 때문에 하마스는 비폭력 협상을 통한 해법은 없으며 테러 행위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주장을 펼칠 수 있었다.

이제 미국은 다시 중동의 적극적인 중재자로 나서야 한다. 위기를 방치할 경우 지금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끔찍한 폭력이 이어질 것이다.

여론독자부 opinion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