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특정 업종 주 52시간 이상 근무케”… 노동개혁 동력 되살릴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300인 미만 연구개발(R&D)·건설·일부 제조업 등 특정 업종에 한해 근로시간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3월 '주 69시간 근무' 논란에 부딪쳐 멈춰선 근로시간 개편의 대상을 좁히고, 직종·업종별로 차이를 둬 노동개혁 논의에 다시 불을 지피려는 모양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몇몇 업종을 우선 적용 대상으로 검토하려는 건 경직적 주 52시간제로 인한 어려움이 큰 부문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몇몇 업종을 우선 적용 대상으로 검토하려는 건 경직적 주 52시간제로 인한 어려움이 큰 부문이기 때문일 것이다. 게임·소프트웨어 업체의 경우 개발 시한을 맞추지 못하면 사업에 타격을 받는다. 수주량, 계절에 따라 일감의 진폭이 심한 건설업이나 조선업, 에어컨 산업도 마찬가지다. 창업한 지 얼마 안 된 스타트업들은 현실적으로 근로시간 규제를 지키는 게 불가능한 경우가 적지 않다.
급할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초과근무 시간을 몰아서 휴가로 사용하게 되면 이런 기업들은 숨통이 트이게 된다. ‘기본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의 주 52시간제에서 1주 단위인 연장근로 관리기간을 월·분기·반기로 늘리는 개편안을 정부가 올해 초 내놨던 이유다. 초과근무 시간을 주 단위로 관리하는 건 선진국 중 한국이 유일하고, 대다수 나라들은 반년, 1년 단위로 관리해 기업의 인력 운용에 융통성을 두고 있다.
이런 방안에 대한 청년 근로자들의 우려는 이해할 만하다. 회사는 ‘나중에 쉬게 해 줄 테니 지금 더 일하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휴일을 찾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년 내내 주 69시간 일하게 될 것’이란 과장된 주장이 득세한 배경이다. 결국 대통령실이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무리”라며 발을 빼 논의가 좌초됐다.
저출산·고령화의 흐름을 단기간에 뒤집긴 어렵다. 그런 만큼 갈수록 약화되는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되살리기 위해선 노동의 효율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일하는 시간을 늘리는 게 아니라, 같은 시간 근무하더라도 생산성을 높이는 쪽으로 일하는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그렇다 해도 청년을 비롯한 근로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 근로시간 개편은 성공하기 어렵다. 노동개혁 ‘2라운드’를 시작하기에 앞서 정부는 ‘결국 일 더 시키려는 꼼수’라고 생각하는 근로자들의 의심을 깨끗이 털어낼 실질적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소아청소년과 과실없는 의료사고, 국가가 보상
- [단독]수도권 신규 대단지 유권자 140만명… 여야, ‘제2 김포’ 표심 촉각
- ‘티코로 대륙횡단’ 교통사고에 좌절… “실패해보니 도전 안두려워”
- 이스라엘군 “가자시티 포위 완료…하마스 전초기지 공격”
- 당신의 혈당이 걱정되시나요?
- “AI 파국적 위험 막게 협력”… 美-中-英 등 28개국 첫 공동선언
- 금리인상 사실상 끝났나…뉴욕증시, 일제히 랠리[딥다이브]
- 中 자원무기화에… 阿서 흑연 구하고 加-칠레서 리튬 구매계약
- 지역 명문학교 키울 ‘교육특구’당 최대 100억 지원
- 아시아나 통합까진 주주설득-美日승인 ‘산 넘어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