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을 사랑한 클래식 지휘자…두 개의 우주 위 '경계'를 걷는다
서양 오케스트라·韓 국악 넘나드는 지휘자 김성진
국악관현악단서 클래식 지휘법 선보여 눈길
20년간 튀르키예 등 해외 무대서 국악 알려
"서양의 깔끔함·韓 정서 섞어 K클래식 완성"
글쓰기에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우주가 있다. 하나는 에너지 넘치는 붓글씨의 세계, 다른 하나는 섬세하고 정교한 펜글씨의 세계다. 전자가 국악(한국음악)이라면, 후자는 양악(클래식)이다.
지휘자 김성진(68)은 평행우주처럼 다른 이 두 세계의 경계에 닿아 있는 인물이다. 클래식 작곡·지휘를 전공했지만 한국음악을 지휘하며 양쪽 세계를 넘나들었다. 서양 오케스트라로 한국 전통음악을 연주하는 식이다. 지난 5년간 국립극장 예술감독을 지내고 올해 3월 퇴임한 그는 최근 저서 <경계에 서>에 자신의 예술 인생을 담았다. 지난달 23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 사옥에서 만난 그와 두 음악 세계를 넘나들었던 삶과 음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악보만 보고 3주 만에 국악단 지휘
“자동차 생태계를 한번 보세요. 차를 만드는 메이커가 있고, 그걸 갖다 파는 딜러가 있잖아요. 음악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 오케스트라가 클래식 레퍼토리만 연주하고 우리 음악은 내버려 두는 건 메이커가 되는 걸 포기하고 그저 딜러가 되겠다는 얘기입니다. 이게 맞나요?”
클래식으로 미국 유학까지 다녀온 그는 어쩌다 ‘한국음악 세계화’의 선봉장이 됐을까. 결정적 전환점은 1998년이었다. 귀국 직후 일자리를 찾던 그는 용인대에 지휘법 강의를 나갔다. 당시 수강생이던 정대석 거문고 명인이 물었다. “국악도 지휘할 수 있느냐”고. 그는 망설임 없이 답했다. “악보만 있으면 할 수 있습니다.”
김 지휘자는 “그 질문을 받자 갑자기 뉴욕시립대에서 만난 스승 모리스 페레스의 가르침, ‘악보에 항상 답이 있다’는 말이 떠올랐다”고 했다. 그렇게 그는 1998년 KBS 국악관현악단 객원 지휘자로 무대에 서며 한국음악에 빠지게 됐다.
그는 국악관현악단을 이끌고 이상규의 ‘대바람소리’를 지휘했다. 서양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듯 악기 간 조화, 박자 및 셈여림 등을 다듬어가며 정교함을 더했다. 이른 아침 나팔꽃에 맺힌 이슬 두 방울, 거센 바람에 뿌리째 흔들리는 대나무들…. 구체적인 연주법보다 한국적 정서를 소리로 구현하는 것에 집중했다. 클래식 지휘자가 국악을 지휘하자 색다른 음악이 나왔다. 국악계에서는 “이색적이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어린 시절을 전북 정읍 시골에서 보내서 그 풍경을 잘 알아요. 고향에 대나무밭이 있었거든요. 대나무는 바람이 불면 뿌리가 통째로 뽑힐 것처럼 흔들려요. 그런 바람과 풍경을 설명하며 단원들과 음악을 만들어갔어요. 제가 국악기를 몰라도 우리 정서를 아니까 (제 말이) 연주자들에게 와 닿았던 거죠.”
한국적 요소 넣은 곡 해외 무대에 올려
국악계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킨 김 지휘자는 2000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단장을 맡았다. 한국음악을 알아가면서 그는 “국악과 클래식을 접목해야겠다”고 결심했다. 한국 음악이 세계적으로 통할 것 같다는 생각에서였다. 이후 국악 프로그램으로 튀르키예 국립 대통령 오케스트라, 크로아티아 국립 오케스트라 등 수많은 해외 악단을 지휘하며 말 그대로 ‘K클래식’을 전파했다.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작곡가 윤이상의 작품을 연주하고, 국내 작곡가들에게 부탁해 한국적 요소를 넣은 곡을 만들어 무대에 올렸다.
“서양 음악은 펜글씨처럼 간결하고 깔끔해요. 아주 촘촘하게 많이 써야 하죠. 반면 국악은 한 번에 획을 ‘확’ 그어야 합니다. 큰 에너지를 한 번에 쏟아내는 거죠. 우리는 한국인이니까 아무리 펜글씨가 익숙해도 붓글씨 쓰는 법을 몸으로 압니다. 그걸 잘 조합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믿었어요.”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었다. 다들 ‘클래식과 한국음악은 연주법도, 구조도 딴판인 다른 세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두 세상을 하나로 접목하려는 김성진을 클래식계도, 국악계도 반기지 않았다.
“국악 대중화의 씨앗 뿌리겠다”
경계에 선 자의 외로움이었다. 그럼에도 그는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국립극장에서 ‘3분 관현악’으로 요즘 트렌드에 맞춘 작품들을 발굴했고, ‘이음음악제’를 통해 젊은 작곡가들을 키웠다. ‘로봇 지휘자’를 무대에 올려 예술과 예술인의 미래에 대한 화두를 문화계에 던지기도 했다.
“서양의 클래식 음악은 사실상 소재가 바닥났어요. 한국 음악은 이제 시작이에요. 소재가 무궁무진합니다. 이걸 잘 발굴해서 가꾸면 세계에서 통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런 게 바로 ‘K클래식’ 아닌가요.”
지난 20여 년간 클래식과 국악의 경계에 서서 경계 밖을 바라본 그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이제 원대한 목표를 세우고, 그걸 달성하기 위해 아등바등할 때는 지난 것 같습니다. 비유하자면 ‘에베레스트산 정복’은 더 이상 저의 프로젝트에 없습니다. 당장 열매를 맺지 못해도 씨를 뿌리는 일을 하려고요. 좋은 작곡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국악 대중화와 세계화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할 겁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쏘나타 뛰어 넘을 것" 자신감…기아 K5, 벌써 6000대 팔렸다
- 中 칭화대 "엔비디아보다 3000배 빠른 AI반도체 개발 성공"
- "마누라가 1억 넘게 샀다는데"…에코프로 개미들 '전전긍긍'
- '성 기능' 개선 효과 있다더니…해외직구 식품서 부정물질 무더기 검출
- '알짜배기 땅'에 JYP엔터까지…3개사가 공동 낙찰받은 이유
- 김혜수, 30년 만에 '청룡 여신' 내려놓는다
- 킴 카다시안이 내놓은 속옷…"이럴 거면 왜 입나" 경악
- 가세연 "이선균 간 업소 아가씨들 ○○여대"…대학 측, 법적 대응 검토
- 유아인 "너도 할 때 됐다"…유튜버에게 대마 흡연 종용했나
- 아영이 심장 받은 아기 주치의 "오래오래 뛰게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