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제사 간소화

이명희 기자 2023. 11. 2. 18: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2일 국회 소통관에서 2023 전통제례바로알리기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 사회 특성 등을 고려한 제사 권고안과 전통제례 보존을 위한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웨덴 언론인 카트리네 마르살은 책 <잠깐 애덤 스미스씨, 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에서 해묵은 경제이론을 논쟁의 장으로 끌고 나온다. ‘보이지 않는 손’을 설파한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경제학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우리가 저녁을 먹을 수 있는 것은 푸줏간 주인이나 양조장 주인, 빵집 주인의 자비심 덕분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그들의 욕구 때문이다.” 그런데 마르살은 천만의 말씀이란다. 그가 ‘잊은 게 한 가지 있다’는 것이다. 푸줏간·양조장·빵집 주인을 일터에 내보내기 위한 여성들의 ‘노동’을 간과했다는 얘기다. 혼자 산 스미스가 빵집 등 주인의 도움 없이 어떻게 저녁을 먹을 수 있었겠느냐는 반격이다.

멀리 갈 것 없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수년 전 우리 사회에도 신드롬을 일으켰다.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내 이야기’로 공감하는 여성들이 많았던 것이다. 현실의 수많은 ‘김지영’들도 명절엔 제사 준비를 하느라 쉴 틈이 없다. 그러다 보니 제사가 ‘가족 불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누구는 돈을 안 내서, 누구는 음식 준비에 오지 않아서…. 제사가 가족 간의 갈등을 야기하다 보니 점차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사라지고 있다. 최근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설문조사에서도 제사를 계속 이어갈 의향이 있는 이들은 10명 중 4명 남짓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도 그것을 의식한 것인지, 제사 음식을 대폭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위원회는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통 제례 보존 및 현대화 권고안’을 발표했다. 그간 여성이 주로 맡아왔던 제사 음식 준비에 관해서는 “고인을 추모하는 가족 모두가 함께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축문은 한글로 써도 되고, 초저녁에 제사를 지내도 된다고 권했다.

어쨌든 먹지도 않는 음식을 바리바리 차리지는 않아도 된다는 것인데, 그런다고 문제가 해결될지는 모르겠다. 사실 제사 간소화에는 여성들의 경제 활동이 늘어난 연유도 있다. 제사가 중요하다면, 부디 온 가족이 함께 준비하는 제사가 되길 바란다. 그래야 일할 여성들이 줄어들자, 선심 쓰듯 제사를 간소화하자는 것 아니냔 의심을 거둘 수 있다. 이미 제사는 마음과 가족 화합이 으뜸이고, 형식은 그다음인 가정이 늘고 있다.

이명희 논설위원 mins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