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통합 급물살···중복노선 해외로 넘기면 ‘국익 침해’ 직면

정유미 기자 2023. 11. 2. 17: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가 화물사업을 매각하기로 발표한 2일 인천공항 주기장에 아시아나 항공기가 세워져 있다. 문재원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9부 능선’을 넘는 중이지만, 앞으로 적잖은 ‘난기류’를 이겨내야 할 상황이다. 합병에 전제조건이 된 ‘아시아나 화물사업’ 새 주인 찾기가 쉽잖은 데다, ‘양사 중복노선’이 자칫 해외업체에 넘어갈 경우 결국 ‘국익침해 합병’이란 비판을 피해가기 어려워서다.

2일 아시아나항공 이사회가 고심 끝에 화물사업 분리 매각을 승인했으나, 대한항공과 최종 합병을 위해선 걷어내야 할 안개가 한두 곳이 아니다.

앞서 EC는 지난 5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제안이 프랑스 파리·독일 프랑크푸르트·이탈리아 로마·스페인 바르셀로나 등 유럽 경제 지역(EEA)과 한국 간 여객·화물 항공 운송 서비스 시장에서 경쟁을 제한할 수 있다며 예비 심사 결정을 보류한 바 있다.

당시 EC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인천~유럽 4개 노선에서 치열한 대결 구도를 보이고 있다”며 “항공 운송 서비스 비용 상승 또는 품질 저하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의 조건부 승인을 받아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부터 간단찮다.

특히 이를 인수할 국내 기업을 찾는 것이 큰 과제다. 코로나 엔데믹과 함께 항공화물 운임이 저점을 찍고 환율과 유가가 고공행진하는 등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상황 속에서 인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다.

아시아나항공의 연간 화물 매출은 2017∼2019년 1조3000억∼1조4000억원 규모였다. 이어 코로나 19 여파로 여객 대신 화물 운송을 늘려 2020∼2022년 2조1000억∼3조1000억원까지 커졌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화물사업 매출은 7795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21.7%를 차지하며 침체를 겪고 있다. 인수할 기업은 1조원가량 되는 화물사업 관련 부채도 떠안아야 한다.

일각에서는 CJ·SK 등 국내 대기업을 잠재적인 인수후보군으로 거론하지만, 인수 의향을 내비친 사업자는 아직 없다.

저비용항공사(LCC) 1위인 제주항공을 비롯해 에어프레미아, 이스타항공, 에어인천이 인수전에 뛰어들지도 미지수다. 아시아나 화물기 11대의 연식이 30년 전후로 노후화된 데다, 고용 유지 등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이미 가장 큰 티웨이항공은 인수전에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국내 인수자를 찾지 못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을 해외에 넘겨줄 경우는 본격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이번 합병을 통해 결과적으로 ‘국익 훼손’이란 비판을 부를 것이 자명해서다. 다만 대한항공 측은 “아시아나 화물사업은 해외에 넘길 수가 없다. 그 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기우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한 중복된 유럽 4개 여객노선 조정도 첩첩산중이다.

대한항공은 해당 여객 운수권을 티웨이항공에 넘기기로 했지만.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대한항공은 티웨이항공에 A330 여객기와 이를 운영할 조종사와 승무원까지 보내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조종사를 파견한다는 것인지, 소속 회사가 바뀌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다”며 “글로벌 톱10 항공사가 되는 것이 아닌 공중분해 되는 과정에서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이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헤쳐나가야 할 ‘비바람’은 또 있다. 미국과 일본 등 2개국 승인도 남아있다. 통합 항공사가 출범하려면 주요 14개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현재 한국을 포함해 11개국의 관문을 통과했지만, 이들 3개국 중 한 곳이라도 불승인하면 합병은 불발된다.

미국과 일본도 EU처럼 독과점을 이유로 제동을 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한항공이 EU 측에 제출하는 시정조치안처럼 미국과 일본에도 슬롯과 운수권을 내놔야 할지가 성패에 관건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외국 경쟁당국의 합병 승인을 따내기 위해 슬롯과 운수권 재분배 카드를 끝없이 제시했다”며 “미국만 해도 뉴욕, 시카고 등을 비롯한 주요 노선에 대해 여객과 화물 모두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대한항공은 영국 승인을 위해 히스로공항에 보유 중인 7개 슬롯을 해외 LCC인 버진애틀랜틱에 넘겼다. 중국에는 46개의 슬롯을 반납하기로 한 바 있다. 남은 3개국 승인 조건으로 노선을 대거 내줄 경우 결국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합병’이냐는 꼬리표가 붙게 된다.

게다가 통합 국적항공사 탄생에 따른 독점 논란도 숙제다. 채권단 산업은행은 통합을 통한 효율성 증대가 독점에 따른 폐해보다 훨씬 크다는 주장이지만, 판단은 소비자 몫일 수밖에 없다.

한 소비자는 “과거 몽골처럼 대한항공 단독 노선의 경우 항공료가 너무 높았던 기억이 난다”며 “혹시 통합 후 요금이 올라가거나 마일리지 등 서비스가 제한되지나 않을까 걱정도 앞선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 30일 이사회를 열고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추가 지원과 함께 영구채 이자 감면 등의 방안을 통과시켰다. 아시아나항공의 올해 상반기 기준 총부채는 12조원, 부채비율은 1741%에 달한다.

앞서 대한항공은 코로나 팬데믹이 절정으로 치닫던 2020년 11월 1조8000억원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을 발표했다. 3조6000억원대 공적자금을 아시아나항공에 투입한 산업은행은 통합 항공사 출범만이 꺼져가는 아시아나항공의 불씨를 살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