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 드문 ‘경계성 인격장애’···드러내지 못할 뿐 없는 건 아니다
해외 유병률에 비해 현저히 낮아
‘숨은 환자’ 과소평가했을 가능성
국내에서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는 비율이 인구 1만명당 1명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국가보다 유병률이 현저히 낮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너무 낮은 유병률은 상당수 환자가 ‘숨어있다’는 방증일 수 있기 때문이다.
2일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교수팀은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2019년 기준 국내 환자 수는 4538명으로 인구 1만명당 1.06명 꼴로 진단·치료를 받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의 2010~2019년 맞춤형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된 국내 환자 수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약 20% 증가했다. 남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년 0.81명에서 2019년 0.80명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성 환자의 유병률은 같은 기간 1.12명에서 1.32명으로 증가했으며 발병률도 더 높았다.
유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20대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유병률이 1만명당 8.7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전(6.62명)과 대구(5.90명)가 그 뒤를 이었다.
경계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불안과 자아정체성 문제 등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다.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대인관계가 불안정한 특징을 보인다. 또 자제력이 부족해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 등 충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60~80%가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알려졌다. 국내에서 경계성 성격장애의 실제 발병률과 임상적 특성에 대해 시행된 체계적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특히 해외의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이 2.7~5.9%(1만명당 270~590명)과 비교해 국내 유병률(1.06명)이 현저히 낮은 점을 들어 진단과 치료, 사회적 인식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석정호 교수는 “보험청구자료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경계성 성격장애의 낮은 국내 유병률은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매우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경계성 인격장애가 자살 위험성과 의료적 부담이 큰 질병임을 고려해 국가적 차원의 인식과 제도 개선, 예산 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