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위기에 메가 서울?…'군위군'도 3년

김학휘 기자 2023. 11. 2. 06: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당이 물꼬를 틀고, 야당이 응수에 나서면서 수도권의 서울 편입 문제는 연일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충분한 논의가 필요한 사안인 만큼, 정치권 논리와 속도 경쟁에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옵니다.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서울,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의 비대화가 문제잖아요. 그 안에서의 그냥 파이를 조금 다르게 나누겠다 이런 거잖아요. 이걸 통해서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여당이 물꼬를 틀고, 야당이 응수에 나서면서 수도권의 서울 편입 문제는 연일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충분한 논의가 필요한 사안인 만큼, 정치권 논리와 속도 경쟁에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옵니다.

김학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월 경북에서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

대구와 경북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장들이 모두 합의하고 절차를 밟았는데도, 지역 소멸 우려가 제기되며 편입까지 꼬박 3년이 걸렸습니다.

김포 편입은 사정이 더 복잡합니다.

관련 지자체가 모두 동의한 군위군과 달리 경기도가 반대하고 있고,

[김동연/경기도지사 : 경제와 민생을 뒷전으로 하면서 국민 갈라치기를 하더니 이제는 국토 갈라치기까지 하고 있습니다. 선거 전략으로 내세운 것이라면 자충수가 될 것입니다.]

수도권 쏠림과 지방 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는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 목표로 내세운 현 정부 약속과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서울,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의 비대화가 문제잖아요. 그 안에서의 그냥 파이를 조금 다르게 나누겠다 이런 거잖아요. 이걸 통해서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서울 확대 필요성에 동의하는 전문가들 중에도 총선용 전략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합니다.

[이창무/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 좀 급조됐다는 느낌을 굉장히 갖게 하죠. 서울과의 생활권으로 형성되는 주변 시들과의 어떤 결합에 대한 부분을 포괄적으로 볼 필요가 있을 겁니다.]

실제 논의가 구체화한다면 쓰레기 소각장 등 기피 시설 이전 가능성, 세수 배분을 둘러싼 형평성 논란 등 갈등 요소가 불거질 수 있는 만큼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박진훈)

김학휘 기자 hwi@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