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 질병은 없다 [달곰한 우리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받는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직업병과 달리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질병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받는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10분. 편집기자 출신 선배의 밥 한 끼 먹는 시간이다. 먹는다기보단 때운다는 표현이 어울릴 게다. 때운다는 말엔 음식에 대한 욕심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때가 되니 그냥 입에 넣는 거다. 30여 년 신문 마감 인생이 만들어낸 일종의 직업병이다. 정년퇴직을 한 지 3년. 느긋하게 먹을 만한데도 몸에 밴 속도는 도무지 줄지 않는다. 취재기자도 사진기자도 별반 다르지 않다. 맛을 즐기다 ‘물먹는’ 일이 생길 수 있어 먹을 땐 늘 급하다.
교열기자 역시 직업병이 있다. 엘리베이터, 화장실, 공원, 전철 등에 붙은 광고나 현수막 속 문구를 대충 보는 법이 없다. 빨간색 펜을 가지고 다니며 일일이 수정하는 선배도 있다. 소설을 읽다 오자가 나오는 순간 현실 세계로 빠져나와 책장을 덮어 버린다는 후배는 여럿이다.
한 가지 일을 오래하다 보면 의도하지 않은 행동에도 직업이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은 직업병을 “한 가지 직업에 오래 종사함으로써 그 직업의 특수한 조건에 의하여 생기는 병”이라고 설명한다.
직업병과 달리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질병이 있다. 몸 전체가 털로 뒤덮이는 ‘늑대인간증후군’, 피부에 나무껍질이나 비늘 같은 사마귀가 자라는 ‘나무인간증후군’, 정상인보다 수십 년 빠르게 늙는 ‘조로증’ 등이다. 보건복지부 희귀질환관리법은 유병(有病)인구가 2만 명 이하이거나 진단이 어려워 유병인구를 알 수 없는 질환을 ‘희귀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
법도 질환도 명칭이 무척 거슬린다. 언론 역시 잘못 사용하는 말이 바로 희귀질환과 ‘희귀병’이다. 한자의 뜻을 풀이하면 이 말이 왜 잘못됐는지 금세 알 수 있다. 희귀병의 희(稀)는 ‘드물다’, 귀(貴)는 ‘귀하다’는 뜻이다. 그러니 희귀병은 보기 드물게 귀한 병이다. 세상에 그 어떤 병을 귀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원인도 모르고, 설사 안다고 해도 치료제가 없어 낫기 힘든 질병은 드물 ‘稀’에 적다는 뜻의 ‘소(少)’를 붙인 ‘희소병’ 혹은 ‘희소질환’이 적확한 표현이다. 죽음보다 고통스러운 병마와 싸우는 이들에게 “희귀병에 걸렸다”고 말하는 건 또 다른 아픔을 줄 수도 있다.
영국 작가 알프레드 조지 가드너가 쓴 수필 '모자철학'의 마지막 문단은 많은 생각을 던져준다. "우리는 각자의 취미나 직업이나 편견으로 물든 안경을 쓰고 인생의 길을 간다. (중략) 우리는 주관적으로 볼 뿐 객관적으로 보지 않는다. 우리가 사실(事實)이라고 하는 그 다채로운 것을 알아보려 할 때 거듭 실패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노경아 교열팀장 jsjysh@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탄핵, 하려면 하십시오... 예산 재배치로 서민 두툼하게 지원"
- [현장] 이선균 마약 의혹 '강남 일프로'... "폐쇄된 룸에서 뭘 하는지 몰라"
- '14년 만 파경' 최동석 "박지윤 귀책 아냐, 억측 강경대응"
- 이다인♥이승기, 결혼 7개월 만 임신 발표..."내년 출산"
- 치과의사들이 치를 떤 '유디 계약서' 보니... "병원 나가려면 100억 내라"
- "확진되면 100만 원"... 독감 보험 과열 양상에 당국 '자제령'
- 홍철호 "김포 서울 편입이 총선용? 골드라인 지옥철 고통 몰라 하는 말"
- 서장훈 "이혼, 마주하기 힘든 일...쉽지 않아" 고백
- '신생아실 학대' 아영이 심장 받은 아기 주치의 "심장 오래오래 뛰게 하겠다"
- "과천·광명은?" "서울을 더 키워?"… 논란 이어지는 '서울시 김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