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버, B2B 플랫폼 ‘우마’ 유럽·북미서 급성장세… K-화장품 통했다

동아닷컴 김상준 기자 2023. 11. 1. 11: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크레이버가 운영하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 '우마(UMMA)'가 K-뷰티 훈풍과 함께 급성장세를 보인다.

박현석 크레이버 부대표는 "인디 K-뷰티 브랜드가 규모의 경제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외 국가에서 B2B 영업을 통한 안정적인 세일즈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다. 우마에 가입한 바이어들은 B2C 사이트 운영 및 SNS 판매, 플랫폼 및 오프라인 매장 운영 등 다각도에 걸친 세일즈 채널을 보유했으며 올해 재구매율 또한 약 33%에 달하는 만큼 해외에서의 빠른 초기 성장을 지원한다"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크레이버가 운영하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 ‘우마(UMMA)’가 K-뷰티 훈풍과 함께 급성장세를 보인다.

2020년 론칭한 ‘우마’는 전 세계 190개 국가 약 1만8700명 이상의 바이어를 회원으로 보유한 B2B 뷰티 전문 커머스 플랫폼이다. K-뷰티 주요 수요 국가들은 물론 가나,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대륙과 코소보, 폴란드 등 유럽 지역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B2B 네트워크를 보유했으며 인디 브랜드들이 추가 비용 없이 글로벌 채널을 구축하고 해외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볼 수 있는 ‘온라인 뷰티 박람회’로 자리매김했다.

우마의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주문 건수는 총 4130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배 이상 신장했으며, 3세대 K-뷰티 트렌드와 유사한 성장 곡선을 보이며 매출이 특정 국가에 편중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10월 기준, 올해 우마 전체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은 유럽(30%)과 북미(21%)이다. 같은 기간 기준 전년 대비 매출이 남미 4.7배, 중동 3.9배, 유럽 3.2배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에서 2.8배 증가하는 등 아시아 외 다양한 대륙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크레이버가 전개하는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의 경우, 올해 우마를 통해 콜롬비아, 룩셈부르크, 가나 및 몰디브 등 다양한 신규 지역에서의 거래를 성사하며 우마 내 매출이 작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현재 우마에서는 스킨1004를 비롯해 아크로패스, 니들리와 같은 중소 브랜드부터 아모레퍼시픽이 전개하는 아모스와 에뛰드, LG생활건강의 더페이스샵 등 약 140개 이상의 다양한 브랜드들을 볼 수 있으며, 제품 수는 작년 말 대비 1.7배 이상 늘어난 약 1만3000여 개이다. 제품 판매 지역을 대륙이 아닌 개별 국가 단위로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현지 판매 가격에 대한 트랙킹이 가능하다는 장점에 기반을 둬 입점 브랜드들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박현석 크레이버 부대표는 “인디 K-뷰티 브랜드가 규모의 경제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외 국가에서 B2B 영업을 통한 안정적인 세일즈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다. 우마에 가입한 바이어들은 B2C 사이트 운영 및 SNS 판매, 플랫폼 및 오프라인 매장 운영 등 다각도에 걸친 세일즈 채널을 보유했으며 올해 재구매율 또한 약 33%에 달하는 만큼 해외에서의 빠른 초기 성장을 지원한다”라고 말했다.

동아닷컴 김상준 기자 ksj@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