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자 사망뒤 5년, 시골동네 쓰레기터 된 빈집 [70th 창사기획-리버스 코리아 0.7의 경고]

2023. 11. 1. 1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대한민국.

빈집 관련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도시 지역은 붕괴위험이 있는 건물 등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도 있게 법상 근거가 있어 관리가 수월할 수 있는 반면 농어촌 지역은 건물이 전부 쓰러져가도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보니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예산이나 인원도 도시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양주시 진접읍 빈집 가보니
고령자 살던 곳 줄줄이 폐가로 방치
잡초 덮인 주변엔 소파·폐자재 쌓여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한 빈집. 주변은 이미 잡초로 덮여 입구조차 파악하기 힘들었고, 주변에는 소파부터 공업용 폐자재까지 누군가 내다 버린 쓰레기들로 가득 차 있었다. 아래쪽 사진은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의 한 빈집. 이곳은 2010년 지구단위계획으로 묶인 지역으로 개발예정지인 까닭에 집이 오래기간 비어있다. 서영상 기자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대한민국. 저출산, 고령화의 쇼크는 이제 또 다른 골칫덩이 빈집 관리의 문제로 번지고 있다. 지방 소멸의 이슈와 맞물려 지방 곳곳은 노인들의 사망과 이에 따른 거주 주택이 폐가로 변하는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집이 모자라다는 서울에서 마저도 개발 사업이 무산된 곳의 슬럼화 문제를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이에 서울과 수도권 외곽의 공가를 찾아 빈집 대란의 실태를 짚어봤다.

“살던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손자가 상속을 받았는데 5년 넘게 저 지경이에요. 쓰레기가 한두개 쌓이면서 점점 늘어나고 여름이면 악취에 고통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남양주 진건읍 송능리 60대 주민)

지난달 30일 찾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남양주 왕숙신도시에서 불과 차로 10여 분 거리인 이곳에는 물류창고들 사이로 빈집이 보였다. 한눈에 봐도 수년간 사람의 손길이 닫지 않은 폐가와 다름 없는 모습이었다. 주변은 이미 잡초로 덮여 입구조차 파악하기 힘들었고, 소파부터 공업용 폐자재까지 누군가 내다 버린 쓰레기들로 가득 차 있었다. 차도를 향해 걸린 빛바랜 ‘쓰레기 투척 금지’ 현수막이 이곳을 관리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짐작케 하는 수준이었다.

급속한 고령화와 가파른 인구감소가 농촌지역 빈집들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빈집들은 한눈에 봐도 범죄와 붕괴 위험이 있으며 미관상도 좋지 않아 보였다.

송능리 빈집에 대해 근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180평(594㎡)에 이르는 대지를 몇년전 3.3㎡당 600만원에 내놨지만 매수인이 없어 매물을 거둬들였다”면서 “대로변에 위치해 3.3㎡당 800만원에 나온 매물들도 임자를 못 찾고 있다. 공사비가 천정부지로 오른 지금 매입 후 철거하고 다시 건물을 세웠을 때는 투자금 회수도 어려울 지경”이라고 했다.

농촌의 빈집이 늘어나게 된 데는 지속되는 농촌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그는 “매도인과 매수인이 생각하는 적정가격의 차이가 너무 커서 간격을 좁히기 쉽지 않다”면서 “도시와 시골의 양극화가 농어촌 지역들의 빈집을 증가시키는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곳곳에서 벌이는 정비사업 역시 빈집을 늘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에는 대로변에 위치해 입지가 훌륭해 보이는 빈집들도 여럿 눈에 띄었다.

남양주시청에 따르면 근방은 2010년 지구단위계획으로 묶인 지역이다. 도시개발법에 따라 토지주들이 주도해 개발사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사업이 13년째 제자리걸음이다 보니 집들을 고칠 수도 없고 지역이 슬럼화 되고 있다는 게 시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인근 한 부동산 관계자는 “개발사업이 진행되면 언제 허물지 모르는 건물을 누가 짓겠느냐”면서 “전 거주자가 도시로 떠나거나 돌아가시고 나서 버려진 집들은 수리비도 만만치 않아 임차를 내줄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빈집과 관련한 실태파악을 위해 농어촌정비법은 관련 규정들을 담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미비점이 많다는 반응이다.

빈집 관련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도시 지역은 붕괴위험이 있는 건물 등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도 있게 법상 근거가 있어 관리가 수월할 수 있는 반면 농어촌 지역은 건물이 전부 쓰러져가도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보니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예산이나 인원도 도시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남양주=서영상 기자

sa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