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깡통전세 대신 갚느라 ‘깡통 공기업’ 된 HUG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급증 여파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담당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올 들어 8월까지 HUG가 집주인을 대신해 돌려준 전세금(대위변제액)은 2조 원을 돌파했다.
전세금을 상습적으로 떼먹어 HUG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악성 임대인은 2020년 83명에서 현재 370여 명으로 급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들어 8월까지 HUG가 집주인을 대신해 돌려준 전세금(대위변제액)은 2조 원을 돌파했다. 2013년 보증상품 출시 이후 지난해까지 10년 치 누적액에 육박한다. 최근 전세사기와 역전세 여파로 세입자들이 제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보증 사고가 급증한 탓이다. HUG는 이 같은 대위변제액을 2∼3년에 걸쳐 채권 추심이나 경매 등으로 회수하지만 회수율은 매년 떨어져 올해는 10%대까지 내려왔다.
특히 지금까지 HUG가 악성 임대인으로부터 회수하지 못한 보증금은 1조5400억 원을 넘어섰다. 전세금을 상습적으로 떼먹어 HUG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악성 임대인은 2020년 83명에서 현재 370여 명으로 급증했다. 전세사기 주범인 이들이 서민들의 삶을 짓밟는 것뿐만 아니라 국민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공기업의 재정 건전성까지 파탄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여파로 올 상반기 HUG의 순손실은 1조3200억 원을 웃돌며 1년 새 7배 이상 폭증했다. 올해 연간 순손실이 3조4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문제는 전세금 미반환 보증 사고가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HUG의 전세보증 규모가 120조 원을 넘어선 가운데,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놓인 가구가 49만 채에 이른다.
이대로라면 HUG가 채무불이행에 빠지면서 반환보증이 아예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민들의 전세금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지 않도록 서둘러 보완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전세보증 사고의 리스크를 집주인 대신 HUG가 모두 떠안는 보증 체계를 손질하는 한편 악성 임대인에 대한 제재 수위를 대폭 높여야 한다. 악성 임대인의 은닉 재산을 끝까지 추적해 다시는 전세시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갈길 먼 지능형 CCTV… 서울 3개區 설치율 ‘0%’
- [송평인 칼럼]먼저 한 도발을 바로잡는 건 도발이 아니다
- 尹 “복합위기 극복, 초당적 협력을”… 野에 손 내밀어
- [단독]HUG가 갚아준 전세사기 보증금, 9263억중 82% 회수 못했다
- 당신의 혈압은 안전한가요
- 與 ‘김포, 서울 편입’ 연내 입법 추진… 野, 찬반 안밝히고 여론 주시
- 尹 “R&D 예산 향후 늘릴것”… ‘부탁’ 5번 언급, 국회 협조 요청
- 이스라엘, 가자지구 북부 난민촌에 대규모 공습…“400여명 사상”
- 음주운전 적발땐 ‘원스트라이크 아웃’… 與혁신위 “총선 후보, 도덕성 기준 강화”
- [횡설수설/이정은]G8 진입 꿈꿨건만, G7과 격차 더 벌어진 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