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엔 덥고 겨울엔 춥고…탄소 줄여야 하는 1순위 빌딩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2023. 10. 31. 2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장세만/기후환경전문기자 : 영상 한번 보실까요? 서울시청의 신청사 건물입니다. 외부 마감재가 유리로 되어 있는데, 요즘에 이렇게 유리로 만든 대형 빌딩들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커튼월 빌딩'이라고 불리는데 여름철 직사광선을 여과 없이 받아들여서 온실처럼 뜨거워지고요. 겨울철에는 단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난방 비용이 매우 많이 듭니다. 이 냉난방에 화석연료인 도시가스를 대부분 쓰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내뿜는 주범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더욱이 이런 건물은 한 번 지어지면 40~50년 이상 유지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문제를 되돌리기가 무척 힘듭니다. 그래서 뉴욕이나 도쿄 등의 건물 온실가스 규제에는 이런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Q. 탄소 배출 가장 심각한 건물은?

[장세만/기후환경전문기자 : 영상 한번 보실까요? 서울시청의 신청사 건물입니다. 외부 마감재가 유리로 되어 있는데, 요즘에 이렇게 유리로 만든 대형 빌딩들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커튼월 빌딩'이라고 불리는데 여름철 직사광선을 여과 없이 받아들여서 온실처럼 뜨거워지고요. 겨울철에는 단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난방 비용이 매우 많이 듭니다. 이 냉난방에 화석연료인 도시가스를 대부분 쓰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내뿜는 주범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더욱이 이런 건물은 한 번 지어지면 40~50년 이상 유지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문제를 되돌리기가 무척 힘듭니다. 그래서 뉴욕이나 도쿄 등의 건물 온실가스 규제에는 이런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온실가스 등급제 감축 효과는?

[장세만/기후환경전문기자 : 결국 이 건물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게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될 텐데, 현재 새로 짓는 건축물에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규정이라는 게 있습니다. 건축 단열 자재와 냉난방 설비를 고효율 에너지 절감형으로 의무화해 놓은 건데요. 문제는 기존에 있는 이 노후된 건축물들입니다. 그래서 정부가 노후 건물의 단열 성능을 개선하는 '그린 리모델링'이라고 하는 지원 사업을 펴고 있는데 한편에서는 민간 건물의 리모델링에 왜 세금을 쓰느냐, 효과는 검증된 거냐, 이런 의견도 있다 보니 해가 갈수록 지원 규모가 줄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Q. 건물 탄소 감축 유도 방안은?

[장세만/기후환경전문기자 : 전기차를 살 때도 개인 소유 차량인데 세금으로 만든 보조금을 주고 있지 않습니까? 전문가들은 이 건물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말을 합니다. 건물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뿐 아니라 국내에 친환경 건축 산업을 키운다는 측면에서도 서울시뿐 아니라 중앙정부도 나서서 적극적인 지원을 검토해야 된다, 이런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 [단독] 건물 온실가스 등급제 추진…"자발적 감축 유도"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405328]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ja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