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지역 이동권 확보 어떻게?
[KBS 전주] [앵커]
전북은 완주를 제외하면 모든 지역의 노선버스를 민간 업체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용객이 줄어 수익이 나지 않으면 서비스 개선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요.
필요할 때 배차해주는 콜버스나 자치단체가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공영제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어서, 진유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주에 사는 75살 이영임 씨.
매일 아침 일터가 있는 전주로 향합니다.
왕복 한 시간 거리의 일터까지 가는 시내버스는 집에서 1km 넘게 떨어진 면 소재지에서 탈 수 있지만, 정류장까지 데려다주는 버스가 있습니다.
전화로 예약하면 마을까지 들어오는 콜버스입니다.
정해진 시간과 노선이 있는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와 달리 필요할 때 부를 수 있습니다.
5백 원의 저렴한 요금도 장점입니다.
[이영임/완주군 소양면 : "(면 소재지에서 집까지) 걸어가기도 힘들고 버스 시간은 30∼40분 기다려야 하고 이럴 때는 전화 미리 해서 이용하는 게 굉장히 좋죠."]
완주군 동상면에서 2015년 처음 시작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행복콜버스'는 점차 운행 지역을 늘려 현재는 완주군 5개 지역에서 8대가 운영 중입니다.
이용객도 2019년 5만 4천여 명에서 지난해 10만 2천여 명까지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러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은 교통 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 떠오르며 전북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노선버스와 달리 승객 수요나 운영 비용 등에 대한 부실한 검증 절차는 과제로 지적됩니다.
버스 15대가 완주 5개 지역을 돌며 해마다 20여만 명을 실어나르는 완주 마을 버스.
전북에서 유일하게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영제 방식으로 수익이 낮아질수록 대중교통 기반이 흔들리는 소멸 위기 지역에서 운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힙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 교통공학박사 : "벽지 노선이나 승객 없는 노선을 우선적으로 공공이 이양을 받아서 운영하고요. 나중에 운수업자와 협상을 통해서 일부 노선들을 지속적으로 공공이 받아오는 그런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버스 업체가 수십 년간 소유해온 노선권 협상이 쉽지 않다는 점과 자치단체가 떠안아야 할 막대한 재정 부담이 걸림돌입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진유민 기자 (realji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가짜 마약 제보 수사’ 더 있었다…“100번 아니라 해도 안 믿어”
- [단독] ‘이선균 사건’ 유흥업소 실장, 내사 받는 작곡가와 과거 마약해 실형
- 이스라엘, 여군 인질 구출…하마스, 인질 영상 ‘선전전’
- [단독] “나 건달이야”…호텔서 돈다발 던지고 행패부린 남성
- 수십 명이 에워싸고 ‘집단 폭행’…가해자 대부분 ‘촉법소년’
- 트럭에 실려 끌려간 여성 끝내 사망…“차라리 다행” [오늘 이슈]
- 통근자가 많아 김포를 서울로? 경기도에서 10위권 [팩트체크K]
- ‘생애 첫 종합건강검진’ 역할…병역판정검사 확대·개선
- “머리카락 나왔으니 환불해 줘” 자작극 논란 유튜버 벌금형
- [현장영상] ‘아메리칸 드림’ 미국으로 밀입국하는 중국인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