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지역 이동권 확보 어떻게?

진유민 2023. 10. 31. 19: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전북은 완주를 제외하면 모든 지역의 노선버스를 민간 업체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용객이 줄어 수익이 나지 않으면 서비스 개선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요.

필요할 때 배차해주는 콜버스나 자치단체가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공영제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어서, 진유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주에 사는 75살 이영임 씨.

매일 아침 일터가 있는 전주로 향합니다.

왕복 한 시간 거리의 일터까지 가는 시내버스는 집에서 1km 넘게 떨어진 면 소재지에서 탈 수 있지만, 정류장까지 데려다주는 버스가 있습니다.

전화로 예약하면 마을까지 들어오는 콜버스입니다.

정해진 시간과 노선이 있는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와 달리 필요할 때 부를 수 있습니다.

5백 원의 저렴한 요금도 장점입니다.

[이영임/완주군 소양면 : "(면 소재지에서 집까지) 걸어가기도 힘들고 버스 시간은 30∼40분 기다려야 하고 이럴 때는 전화 미리 해서 이용하는 게 굉장히 좋죠."]

완주군 동상면에서 2015년 처음 시작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행복콜버스'는 점차 운행 지역을 늘려 현재는 완주군 5개 지역에서 8대가 운영 중입니다.

이용객도 2019년 5만 4천여 명에서 지난해 10만 2천여 명까지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러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은 교통 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 떠오르며 전북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노선버스와 달리 승객 수요나 운영 비용 등에 대한 부실한 검증 절차는 과제로 지적됩니다.

버스 15대가 완주 5개 지역을 돌며 해마다 20여만 명을 실어나르는 완주 마을 버스.

전북에서 유일하게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영제 방식으로 수익이 낮아질수록 대중교통 기반이 흔들리는 소멸 위기 지역에서 운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힙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 교통공학박사 : "벽지 노선이나 승객 없는 노선을 우선적으로 공공이 이양을 받아서 운영하고요. 나중에 운수업자와 협상을 통해서 일부 노선들을 지속적으로 공공이 받아오는 그런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버스 업체가 수십 년간 소유해온 노선권 협상이 쉽지 않다는 점과 자치단체가 떠안아야 할 막대한 재정 부담이 걸림돌입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진유민 기자 (realji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